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복귀시한' 마지막 날도 '요지부동'…내년 신규 전문의 비상

입력 2024-05-20 20:20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전공의들이 병원을 떠난 지 오늘(20일)로 석 달이 됐습니다. 정부는 사실상 오늘이 전문의를 제때 딸 수 있는 마지막 날이라고 경고했지만, 전공의들은 돌아올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되면, 당장 내년에 필수의료 전문의가 거의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겁니다.

황예린 기자입니다.

[기자]

정부는 오늘을 이탈 전공의들이 불이익 없이 복귀할 수 있는 마지노선이라고 경고했습니다.

고연차 전공의들은 병원을 떠난 지 3개월이 지나기 전에 복귀해야 내년도 전문의 자격을 취득할 수 있다는 겁니다.

[조규홍/보건복지부 장관 : 2월 19일부터 이탈한 전공의의 경우에는 3개월이 되는 오늘까지 복귀해야 합니다.]

합리적인 판단도 강조했습니다.

[박민수/보건복지부 제2차관 : (집단의) 단일대오라 그러나요? 탕핑(누워서 아무것도 하지 않음)이라고 하는 이런 불합리한 의사결정이 아닌 본인의 개인적인 합리적 이성 거기에 기대어서 판단하시고.]

하지만 대다수 전공의들은 요지부동입니다.

[수도권 대학병원 관계자 : (병원으로) 돌아갈 수 있냐, 뭐 이런 문의 전화, 의미 있게 많이 온 것 같지는 않다라고 하거든요.]

한 사직 전공의는 "정부가 정한 복귀 시점이고, 전문의 1년 늦는 건 큰 문제도 아니"라고 말했습니다.

문제는 이렇게 되면 당장 내년에 3천명 가까운 신규 전문의가 거의 나오지 않을 수 있다는 겁니다.

이 가운데 필수의료 분야 전공의가 절반 정도인데, 가뜩이나 부족한 흉부외과와 신경외과, 소아청소년과부터 적잖은 타격을 입을 수 있습니다.

저연차 전공의와 의대생까지 제때 복귀하지 않으면 그 여파는 더 오래, 더 커질 수 있습니다.

[오세옥/부산대 의과대학 교수협의회장 : 한해 연도에 전문의 공급이 안 되게 될 것이고, 따라서 연쇄적으로 또 학생들도 복귀하지 않을 것입니다. 내년 3월에는 상당한 파국이 예상될 겁니다.]

정부는 전공의들이 휴직이나 병가 등 부득이한 사유를 소명할 경우에만 이를 수련 기간으로 인정해주겠다고 했습니다.

[영상디자인 조영익]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