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해외직구 금지' 진화 나선 정부…"혼선 끼쳐 죄송" 사실상 철회

입력 2024-05-19 19:09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국내 안전 인증을 받지 않은 전자제품이나 장난감 등을 해외 직구로 살 수 없게 하겠다던, 며칠 전 정부의 발표를 놓고 과도한 규제라는 논란이 일었습니다. 그러자 정부는 위해성이 확인된 물건에 대해서만 직구를 막겠단 거였다면서 진화에 나섰습니다.

자세한 내용, 김도훈 기자입니다.

[기자]

해외직구 규제가 과도하다는 거센 비판 여론에 정부가 적극 해명에 나섰습니다.

정부가 KC 인증을 받지 않은 어린이용 제품 등의 해외직구를 차단한다는 정책을 발표한 지 사흘 만입니다.

[이정원/국무조정실 국무2차장 : 상세하고 구체적으로 설명을 드렸어야 되는데 그러지 못해서, 이유 여부를 불문하고 국민 여러분께 혼선을 끼쳐드려서 대단히 죄송하다는 말씀 먼저 드리고.]

국내안전 미인증 제품 80개 품목에 대한 직구 전면 차단은 검토조차 한 적이 없다고 했습니다.

유해성분이 확인된 제품만 골라내 반입을 막겠다는 의미라고 강조했습니다.

[이정원/국무조정실 국무2차장 : 발암물질이라든가 화학물질이 어린이 제품에서 몇백 배가 초과됐다, 이런 것들이 나오지 않습니까? 이런 거를 국민들이 쓰셔서는 안 되고 그거를 본인들이 모르고 구매를 하셔서 쓰시면 안 되기 때문에.]

다른 국가의 인증 등 다른 대안을 인정할 가능성도 시사했습니다.

[김상모/국가기술표준원 제품안전정책국장 : KC인증이 유일한 방법은 아니므로 앞으로 다양한 의견 수렴을 거쳐서 법률 개정 여부를 신중히 검토해 나가겠습니다.]

정치권에선 비판이 잇따랐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아니면 말고'식의 무책임한 국정운영이라고 비판했고, 조국혁신당도 국민을 혼란스럽게 하는 게 국정 운영 기조냐며 꼬집었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