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핵실험장 주변 탈북민 피폭 의심...핵실험탓으로 단정할 순 없어"

입력 2024-02-29 14:43 수정 2024-02-29 14:5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정부가 북한의 핵실험장 주변에 거주했던 탈북민을 대상으로 피폭량 등을 조사한 결과 80명 중 17명에게서 피폭 가능성 의심 수치가 나왔습니다.

다만 '유의미한 수준의 심각한 방사능 오염'은 아니라고 강조했습니다. 또한 흡연, CT 촬영 등이 수치에 영향을 끼쳤을 수 있기 때문에 피폭 원인을 북한의 핵실험으로 단정할 수 없다고도 덧붙였습니다.

통일부는 오늘(29일) 한국원자력의학원에 의뢰해 실시한 '방사선 피폭·방사능 오염 검사' 보고서를 공개했습니다.
2018년 5월 폭파 전 풍계리 핵실험 관리 지휘소의 모습. 〈사진-연합뉴스/공동취재단〉

2018년 5월 폭파 전 풍계리 핵실험 관리 지휘소의 모습. 〈사진-연합뉴스/공동취재단〉


검사는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 인근 8개 시·군에서 거주한 이력이 있는 탈북민 80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5월부터 6개월 동안 진행됐습니다.

생애 전반에 걸쳐 누적된 방사선 피폭량을 측정하는 안정형 염색체 이상 검사 결과에서 80명 중 17명이 최소검출한계(0.25그레이) 이상의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세포 1,000개에서 염색체 이상이 7개 이상 나타나 방사선 피폭을 의심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다만 17명 중 2명은 2016년 이전 같은 검사를 받았을 때 최소검출한계 미만의 결과를 보인 이후 재입북한 이력이 없습니다. 그 때문에 한국에 거주하면서 의료 방사선 등 다른 영향으로 방사선 수치가 높아졌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또한 17명이 받은 건강검진 결과를 보면 경증 질환은 확인됐지만 암 같은 중증질환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원자력의학원 관계자는 "안정형 염색체 이상 검사 측정치는 의료용 방사선 피폭으로도 나올 수 있는 범위에 있어서 이 값만으로 이들이 핵실험에 따른 피폭으로 염색체 이상이 생겼다고 판단하기에는 근거가 부족하다"고 말했습니다.

이번 조사는 탈북 이후 상당 기간 시간이 흘렀고, 피폭 의심 지역의 환경 시료를 확보할 수 없다는 점 등 핵실험과 피폭 사이의 인과관계를 입증하는 데에 한계가 있었습니다.

원자력의학원은 "환경 시료를 확보할 수 없는 제약을 고려할 때 핵실험이 인근 주민에 미친 영향을 과학적으로 평가하려면 더 많은 피검자를 확보하고, 입국 후 이른 시간에 검사를 실시하는 등 상당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