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응급 콜에도 의사 못 와" "소변줄도 대신"…간호사들 불안 호소

입력 2024-02-27 07:46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의사들의 빈자리, 지금은 간호사의 몫이 됐습니다. 하지만 간호사가 할 수 없는 '불법 진료'까지 내몰리고 있다고 호소합니다. 정부는 아예 간호사가 할 수 있는 업무 범위를 더 명확히 하겠다고 하는데, 당장 가능한 것인가 의문이라는 반응입니다.

계속해서 황예린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에 있는 한 대학병원에 최근 심폐소생을 해야 할 응급환자가 왔지만 간호사 뿐이었습니다.

[서울 사립대병원 간호사 : 교수들이 도착하기 전 간호사들이 제세동기를 가동시켜야 하는 위급한 상황까지 발생하기도 합니다. 응급상황 시에 콜을 해도 당장 올라와서 환자를 봐주어야 할 의사는 올라오지 못합니다.]

수술 부위를 봉합하거나 소변줄을 삽입하는 업무도 간호사가 대신하고 있습니다.

[서울 사립대병원 간호사 : 이제 환자 상태라든지 많은 것들을 보면서 해야 하기 때문에 바로바로 답변을 해 줄 수 있는 의사가 없는 상태에서 그것들을 감당하는 것이 굉장히 좀 불안하고 또 부담이 큰…]

현장에선 응급 상황 속 환자 피해가 계속 커질 거란 말이 나옵니다.

[부산 사립대병원 간호사 : 의사들이 와서 현재 환자 상태를 파악해서 적시 적소에 그런 약물들을 투입해야 하는데 이런 상황들이 늦어지다 보니 환자한테는 굉장히 위해가 될 수 있는 상황들이죠.]

이런 상황에 정부는 진료보조 간호사의 업무 범위를 더 명확히 하겠다고 했습니다.

[박민수/보건복지부 제2차관 : 의료기관의 장이 의료기관장의 책임하에 위원회를 설치하거나 또는 간호부장과 협의해서 간호 지원 인력의 업무 범위를 정하도록 하고요.]

하지만 간호협회 한 관계자는 "정부의 지침이 당장 시행될지 의문"이라고 했습니다.

간호사를 지킬 안전망으로 부족하다는 비판도 나왔습니다.

[최희선/보건의료노조 위원장 : 이게 면책 특권까지 된다라고 저희는 바라볼 수 없습니다. 실제로 2020년도에 의사들이 파업했을 때에도 그 업무를 대신했던 간호사들을 소송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런 것들도 정부가 보호해 줄 것인지…]

남은 의료진의 고군분투로 버티기에는 의료 공백이 너무 빠르게 커지고 있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