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좌표 바로 드릴게요"…텔레그램 마약방 들어가보니 [보니보니]

입력 2023-11-29 18:1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가보니 해보니 들어보니. 보니보니 박사라 기자 나와 있습니다. 오늘(29일)은 무시무시한 주제를 가져오셨다는데요.

[기자]

네, 오늘은 '텔레그램 마약방 들어가보니' 입니다. 마약이 우리 사회 곳곳에 침투하고 있습니다. 연예인도 등장하고 심지어 청소년에게까지 확산되고 있는데요. 그 주요 통로가 이 텔레그램 마약방이라고 합니다.

[앵커]

보니보니는 취재 목적을 위해서 텔레그램 마약방에서 취재한 것이라는 걸 알려 드립니다. 텔레그램 마약방, 얘기가 많이 나왔죠. 판매자들이 텔레그램 앱으로 마약 주문을 받고, 공급을 해주는 방인데요. 보니가 직접 어떻게 들어갔습니까?

[기자]

2대 보니 최규진 기자가 마약 취재를 해봤기 때문에 자문을 구해서 들어갔습니다. 지금 보시는 게 제가 실제로 마약방 운영자와 대화를 나눈 겁니다. 제가 기자라는 걸 들키지 않기 위해 미리 은어라든지, 주문 방법을 숙지하고 난 뒤에 물어봤습니다. 저에게 제휴업체가 어디냐며 경계를 하잖아요? 이게 다 수사기관에 흔적을 남기지 않기 위한 건데요. 기존 거래자들 위주로, 가상화폐를 이용해서 거래를 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앵커]

저희가 이런 과정을 보여주는 건, 마약방의 실체를 적나라하게 폭로하기 위함이거든요. 그래서 용어나 가격 등은 전부 가렸습니다. 지금 컨펌이 되면 좌표를 바로 드린다고 적혀있는데, 이게 무슨 뜻이죠?

[기자]

'좌표'라는 게 마약을 실제로 거래하는 특정 지점을 말합니다. 보통 마약 거래가 '던지기' 수법으로 많이 이루어지거든요. '갖다 놓고 나중에 가져간다' 현금이나 가상화폐가 입금된 게 확인되면, 배달원이 그 좌표에 마약을 놓고 간다는 뜻입니다. 그러면 구매자가 와서 가져가는 거죠. 심지어 요즘엔 배달을 해주는 곳도 있어서 1시간 안에 마약을 공급받을 수 있는 시대라고 합니다.

[앵커]

이런 텔레그램이랄지 SNS가 마약 유통 창구로 쓰이고 있잖아요. 이거 경찰이 단속을 할텐데, 계속 버젓이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가 뭡니까?

[기자]

단속을 열심히 하고 있지만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합니다. 전문가의 얘기 한 번 들어보시죠.

[박진실/법무법인 진실 변호사 : 지금 텔레그램이 보안이 잘 돼 있어서 거의 마약 사범들이 그걸 이용하는데 근절할 수가 없는 게 그냥 방을 폭파시키고 나갔다가 또 새로운 걸 또 만드는 거예요. 단속을 해도 그런데 이제 아예 이런 걸로 쓰지 못하도록 텔레그램 본사랑 협조가 되질 않는 거죠. 경찰들이 마치 자기네들이 구입하는 사람인 것처럼 이제 연락을 취하고 그들이 쓰는 은어를 쓰면서 같이 얘기를 나누는데 경찰들일 거를 알고 이것저것 자신들도 이렇게 해봐라 저렇게 해봐라 이거 인증해 봐라. 니네가 경찰이 아니라고 하려면 문신이 있는지 보자 주사기 보여달라 이런 식으로…]

[앵커]

정리하면 외국 회사이기 때문에 수사 협조가 전혀 되지 않는 어려움이 있다. 박 보니가 한 것처럼 경찰들도 마약방에 잠입해서 검거하고는 있지만, 쉽지는 않다.

[기자]

그렇습니다. 또 요즘엔 마약 투약자들끼리 경찰 수사를 피할 수 있는 방법을 공유합니다. 대표적인 게 많이들 알고 계시는 머리 염색, 탈색, 제모하기… 많이 들어보셨죠? 또 요즘에는 떠오르는 게 마약 간이검사기를 구해서 미리 대비를 한다고 합니다. 지금 보시는 건데요.

[앵커]

이게 마약 간이검사기군요. 근데 이걸 일반인도 구하는 게 가능한 건가요?

[기자]

해외에서도 많이 들여온다고 하고요. 경찰에서 실제 사용하는 간이검사기가 암암리가 유통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또 일부 변호사 사무실에서 수사를 앞둔 의뢰인에게 마약검사키트를 제공하기도 한다고 해요. 계속 검사를 해서 음성이 나올 때까지 경찰 출석을 미루는 겁니다.

[앵커]

근데 변호사 사무실에서 제공하거나 온라인에서 파는 게 문제는 없나요?

[기자]

정식 의료기기를 직구하거나 일반인이 제공하면 불법이겠지만, 법무법인에서 제공하는 건 일반 키트라고 하더라고요. 그것도 어쨌든 수사 회피라는 관점에서 보면 그렇게 좋게 보이지만은 않지요.

[앵커]

그런데 이 마약이 범죄 적발도 중요한데, 재발을 막으려면 치료도 중요한 부분이잖아요. 재발이 워낙 많이 일어나니까, 마약의 고리를 끊지 못하면 계속해서 손을 댈 것 같은데요. 단속과 치료가 함께 가야 하는 거죠.

[기자]

그렇습니다. 그래서 수사기관에서 치료나 교육 40시간, 이런 식으로 강제할 수는 있죠. 하지만 처분을 결정하는 거지, 어떻게 치료할지 결정하는 건 아니니까요. 우리나라 마약 재활시스템이 거의 민간시설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고 해요. 국가 시설을 많이 늘릴 필요가 있다, 이런 지적이 나오고요. 최근에는 이런 보도도 나왔습니다.

[앵커]

마약류 중독 치료도 건강보험 적용한다, 이게 찬반 의견이 많이 엇갈리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개인이 마약하는 걸 국민의 세금으로 치료하는 게 맞느냐.

[기자]

사실 원래도 복지부 지정 기관에서 치료받으면, 그 환자는 무상으로 받는 구조이긴 했습니다. 엄청난 변화가 있는 건 아니고요. 그전에는 복지부가 전액 치료비를 부담하던 걸 건보공단이 나눠서 부담한다는 개념입니다.

[앵커]

실질적으로 들어가는 세금은 비슷하지만, 의미가 좀 달라진다고 보면 될 것 같아요. 마약을 어떤 질병의 개념으로 보고 치료하겠다라는 거죠. 잘 들었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