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해외서도 우려하는 한국 가계빚…'시한폭탄' 된 취약계층

입력 2023-11-21 20:05 수정 2023-11-21 23:00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얼마나 심각한 상황인지, 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부 대책은 있는지, 경제산업부 정아람 기자와 짚어보겠습니다.

정기자, IMF 등 여러 국제 기구에서도 우리나라 가계빚 심각한 수준이다, 이런 경고가 이미 나왔었죠?

[기자]

네. 최근 국제금융협회가 3분기 GDP, 즉 국내 총 생산에서 가계부채가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했는데요.

우리나라는 100.2%로 서른네개 나라 가운데 1위였습니다.

100을 넘었다는 건 우리나라 가구 빚을 합친 게 국내 경제의 전체 규모보다 컸다는 뜻입니다.

국제통화기금, IMF 역시 지난 5년 사이 GDP 대비 가계부채 증가 속도가 스물여섯개 나라 중에 제일 빨랐다고 분석했습니다.

[앵커]

이 빚폭탄, 터질 경우 누가 가장 크게 타격을 입게 되나요?

[기자]

아무래도 고령층과 소상공인 같은 금융취약 계층이 제일 우려됩니다.

파산을 신청한 60세 이상의 비중은 매년 늘고 있는데 올해는 상반기에만 10명 중 4명에 달했습니다.

60세 이상은 소득과 신용도가 낮아 대부업으로까지 옮겨가고 있습니다.

생활비를 충당할 여력이 없어서 카드값을 이월하는 '리볼빙'도 급증하고 있는데요.

지난달 카드사 아홉 곳의 리볼빙 잔액은 7조5000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지난해 9월에 7조원을 넘어선 뒤 계속 오름셉니다.

금리가 20%에 육박하고 대출기간도 짧아서 연체 위험이 큰 상황입니다.

[앵커]

정부 대책은 뭔가요? 정부가 지금 이 상황을 어떻게 보는지 궁금한데요.

[기자]

정부는 "과거 어느 때와 비교해도 가계부채가 안정적으로 관리되고 있다"고 자평했는데요.

하지만 전문가들은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의 마지노선을 80%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한국은행도 최근 보고서에서 "그 비율이 80%를 넘으면 단기 성장률까지 떨어진다"고 경고했는데요.

그만큼 현재 상황이 심각하다는 걸 의미합니다.

취약계층 연체율이 급등하기 시작하면 이런 현상은 도미노처럼 번질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빠른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입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