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지하수의 보복, 도시가 가라앉는다…결국 '수도' 옮기는 그곳

입력 2023-10-02 21:05 수정 2023-10-11 10:09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사라지는 지하수' 연속 보도, 오늘도 이어갑니다. 마르지 않을 줄 알았던 지하수가 말라가면서 우리나라를 포함해 세계 곳곳에서 지하수가 빠진 빈 공간만큼 땅이 내려앉고 있는데요. 오늘은 그탓에 '수도'까지 포기하게 된 나라로 가보겠습니다.

정해성 기자가 인도네시아에서 현장 취재했습니다.

[기자]

아이들은 도시의 땅 끝, 길고 높은 벽을 놀이터 삼았습니다.

위에서 내려다보니 바다 수면은 육지보다 높습니다.

벽이 없으면 이 땅은 물에 잠깁니다.

한때 예배당이었던 건물은 이제 물속에 있습니다.

몇 년 전까지 이곳은 육지였습니다.

[수미아띠/자카르타 주민 : 기도하러 몇백 명씩은 들어갔어요. 사람도, 차도 많았고. 벽이 없을 땐 좋았죠.]

20년 전쯤, 땅이 가라앉는다는 경고가 처음 나왔을 때 사람들은 대수롭지 않게 생각했습니다.

뭔가 잘못됐다는 걸 깨달았을 때는 이미 늦었습니다.

[압둘아디르/자카르타 주민 : {바닷물이 이 벽을 넘어온 거예요?} 넘어왔죠. {어땠어요, 그날?} 여길 다 채우고도 결국 저 뒤까지 갔어요. 대통령궁까지 침수됐어요.]

10년 전부터 바닷물이 수도 자카르타에 들어차기 시작했습니다.

마을 안쪽에도 2미터 높이 벽을 곳곳에 세웠지만 소용이 없습니다.

지반이 내려앉는 속도가 점점 빨라지고 있습니다.

이유는 지하수입니다.

지하수를 퍼 올린 만큼 쪼그라들듯 지반이 주저앉았습니다.

[띠띤/자카르타 주민 : 보름에 한 번 물이 차요. {불안하지 않으세요?} 집 안에 물이 들어오는 것도 다들 익숙해졌어요.]

오는 2030년이면 도시 중심부까지 물에 잠길 가능성이 높습니다.

주민들은 자포자기한 채 곧 닥칠 도시의 마지막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압둘아디르/자카르타 주민 : 저는 여기서 태어났고 여기서 죽을 사람이에요. 그러니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쉽게 꺼내 쓴 지하수 때문에 이 아이들이 살아갈 터전은 곧 사라집니다.

누가 이 사태에 가장 큰 책임이 있는지 계속 추적합니다. 

※ 본 보도는 한국언론진흥재단의 정부광고 수수료를 지원받아 제작되었습니다.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