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미국 군인 체포됐는데도 여전히…"단서 없으니 악의 없다"

입력 2023-04-14 19:5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미 수사당국이 기밀 문건 유출 혐의로 미국 현역 군인을 체포했습니다. 이 말은 기밀 문건, 즉 한국 안보실장의 대화 내용이 담긴 그 문건을 만든 당사자가 미국일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는 겁니다. 그런데도 우리 정부 고위 당국자는 미국에 악의가 없다는 기존 입장을 계속했습니다. 도청했다는 단서가 없다는 이유입니다.

윤샘이나 기자입니다.

[기자]

문건 유출한 용의자가 체포되면서 기밀 문건의 상당수가 조작됐다는 대통령실의 주장은 힘이 떨어지게 됐습니다.

그런데 대통령실은 여전히 "사실과 다른 부분이 있다"며 기존 입장을 되풀이했습니다.

워싱턴에서 한국 기자들을 만난 정부 고위 당국자도 "지금까지 판단에 따르면, 미국이 우리 정부를 도청했다고 확정할 만한 단서가 없다"고 말했습니다.

유출 문건이 어떤 방식으로 만들어졌는지 몰라, 미국 탓을 할 수 없다는 주장입니다.

그러면서 "현재까지 악의적인 행동이 없었던걸로 간주한다"고 다시 강조했습니다.

앞서 나온 대통령실 입장과 비슷합니다.

[김태효/국가안보실 1차장 (지난 12일) : 동맹국인 미국이 우리에게 어떤 악의를 갖고 했다는 정황은 발견되지 않고 있습니다.]

도청 자체가 불법인데, 선한 의도로 하는 도청도 있느냔 비판이 커졌습니다.

이에 대해 고위 당국자는, 미국이 도청한 근거가 없다는 뜻인데 보도가 잘못됐다고 언론에 책임을 돌리기도했습니다.

대통령실 관계자도 도청 의혹을 보도하는 언론들이 "자국의 이익을 먼저 생각해야한다"며 관련 보도들을 문제삼았습니다.

이 당국자는 또 한미정상회담을 앞두고 논란이 불거져 "미국측이 동맹으로서 큰 누를 범한 것 같다며 곤혹스러워 했다"고 밝혔습니다.

(영상디자인 : 김충현)

관련기사

도청 논란 영향?…국정지지율 하락, '30% 방어선' 뚫려 '미 기밀 유출자' 장갑차 동원해 체포…21살 주방위군 일병 CNN "기밀 유출 사태로 미군 일급기밀 접근 대상 축소"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