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박쥐→천산갑, 이번엔 너구리…코로나19 숙주 새 증거 나왔다

입력 2023-03-18 15:30 수정 2023-03-18 15:30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트위터

CNN 방송화면 캡처CNN 방송화면 캡처
코로나19 초기 확산에 '너구리'가 관련돼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현지시간 17일 CNN 등에 따르면 이는 미국 과학연구소 스크립스 리서치, 호주 시드니대학교, 미 애리조나대학교 등 소속의 국제 연구진이 중국 우한의 화난(華南) 수산시장 내 동물 우리, 수레, 바닥 등 곳곳에서 2020년 1월∼3월 채취된 유전자 데이터에 대한 재분석을 시행한 결과입니다.

당시 코로나19에 양성 반응을 보인 유전자 샘플에는 이 시장에서 판매됐던 너구리의 유전자가 상당량 섞여 있었다는 겁니다.

연구팀은 이에 대해 "너구리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숙주였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동안 유력한 숙주 동물로 꼽혔던 박쥐나 천산갑이 아닌 너구리가 코로나19 중간 숙주 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는 얘기입니다.

중국 화산 수산시장은 이름이 수산시장일 뿐 당시 어물을 비롯해 박쥐, 천산갑, 뱀, 오리, 지네, 너구리, 토끼 등 각종 야생동물을 식용으로 팔았습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결과를 세계보건기구(WHO) 내 '새로운 병원체의 기원 조사를 위한 과학 자문그룹'(SAGO)에 전달했습니다.

이후 WHO는 중국이 코로나19와 너구리 등 야생동물 간 연관성에 대해 더 일찍 공표했어야 한다고 비판했습니다.

테워드로스아드하놈거브러여수스 WHO 사무총장은 "이 데이터는 3년 전 공유될 수 있었다"며 "우리는 중국이 데이터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필요한 조사를 수행할 것을 계속해서 촉구한다"고 말했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