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5·18 계엄군 대대장의 증언 ③"주남마을 버스, 여학생 기억한다"

입력 2020-05-14 20:22 수정 2020-05-15 11:29

'폭도 진압' 왜곡한 주남마을 버스 학살 사건
대대장도 알고 있었다, 폭도가 아닌 여고생을…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트위터

'폭도 진압' 왜곡한 주남마을 버스 학살 사건
대대장도 알고 있었다, 폭도가 아닌 여고생을…


[앵커]

당시 광주에선 시민이 탄 버스가 공격받는 일도 벌어집니다. 계엄군은 '폭도 진압 사건'으로 기록했습니다. 이 작전을 수행한 게 바로 이제원 씨가 대대장인 62대대였습니다. 하지만 이제원 씨는 버스에 탄 사람들을 폭도로만 규정하지 않았습니다. 유일한 생존자인 여고생도 기억을 하고 있었습니다. JTBC가 만난 생존자의 진술과도 일치하는 부분이 적지 않았습니다.

이지은 기자입니다. 

[기자]

1980년 5월 23일.

계엄군은 광주 주남마을 앞길을 가던 버스에 무차별 사격을 가했습니다.

18명 중 15명이 즉사했고, 3명이 크게 다쳤습니다.

이 중 2명은 인근 뒷산에서 총살을 당했습니다.

총상을 입은 여고생 홍금숙 씨만 살아남았습니다.

[홍금숙/'주남마을 사건' 생존자 : 막 콩 튀듯이 총 소리가 다다다다 하니까, 차 바닥에 내장이 쫙 퍼져서. (옆에 여고생은) 엉덩이 아파 죽겠다고 하는데 엉덩이가 없다는 거야 만지니까.]

총격을 가한 건 11공수여단 62대대 소속 부대원들이었습니다. 

신군부는 이를 폭도를 진압한 사건으로 기록했습니다. 

그런데 62대대장이었던 이제원 씨는 이들을 폭도로만 규정하고 있지 않습니다. 

[이제원/11공수 62대대장 : 홍금숙이라고 알죠. 여학생이 경운기에 앉혀서 실려 왔더라고. 두 명은 숨이 까딱까딱하고. 야 빨리 헬기 불러라.]

부상자를 살려 보내려고 했다는 이야기도 했습니다.

[이제원/당시 11공수 62대대장 : 나는 얘네들(부상자 3명) 전부 다 보내려 그랬거든. 그래야지 CAC(전투교육사령부)에서 (시민군) 정보도 얻고.]

2명을 총살한 것이 자기 부대 책임은 아니라고 했습니다. 

[이제원/11공수 62대대장 : (헬기로) 인계하라 그랬더니 그 옆에 7공수 군수장교가 있었대. 우리 아이들보고 '인마 뭐하러 얘들 데리고 왔어? 데려가 처리해' 라고. 나는 다 보내려 그랬는데 그 모양이 돼 버렸다고.]

생존자 홍금숙 씨가 JTBC에 설명한 당시 상황도 이제원 씨 기억과 거의 같습니다. 

[홍금숙/'주남마을 사건' 생존자 : (어떤 군인이) 어쩌라고 이런 사람을 또 데리고 왔냐고 (하더라고요.) 오전에도 이렇게 데려오고. 부상자들 데려와서 나보고 어쩌라고 무전으로. (부상자) 호주머니에 있는 거 싹 꺼내라고 하더라고요.]

홍씨는 살기 위해 입을 다물었다는 이야기도 전했습니다. 

[홍금숙/'주남마을 사건' 생존자 : 옆에 군인한테 혹시 둘 죽인 거 아니냐고 물으니까 그런 거 같다고. 나보고 절대 누가 뭔가를 물어봐도 알아도 몰라요, 몰라도 몰라요, 무조건 모른다고 하라고, 살려면….]

(VJ : 손건표)
 
 

HOT▶ '5·18 계엄군' 대대장의 증언

JTBC는 당시 전남도청 앞에 배치됐던 계엄군의 대대장, 이제원 씨를 인터뷰했습니다.



 

관련기사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