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코로나19의 충격이 이처럼 커지자 정부는 추경안을 짜서 국회로 보냈죠. 지역에서 쓸 수 있는 상품권을 풀어서 소비를 살리는 방안이 대표적인데요. 현장을 확인해 보니까 당장 이 상품권을 받는 곳이 그리 많지 않았습니다. 피해가 큰 소상공인을 보다 직접적으로 도울 방안이 필요하단 목소리도 커지고 있습니다.
송승환 기자입니다.
[기자]
서울 영등포의 한 전통시장입니다.
영등포 사랑 상품권을 쓸 수 있는 곳이 얼마나 될까요? 직접 확인해보겠습니다.
[A씨/영등포 전통시장 상인 : 영등포 사랑 상품권이 있어요? 그런 건 안 써봤는데.]
[B씨/영등포 전통시장 상인 : 아직 받아본 적도 없고 어떻게 생겼는지 본 적도 없어요. 상품권 풀었다고 효과가 바로 느껴져요? 절대.]
취재진이 찾아간 20곳 중 상품권을 쓸 수 있는 가게는 3곳에 불과했습니다.
영등포구는 서울에서 지역사랑상품권을 가장 많이 쓰는 지역입니다.
서울시는 전통시장 등 전체 상점의 30%에서 쓸 수 있다고 집계합니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추경으로 상품권이 풀려도 생각보다 소비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고 지적합니다.
소비자 중에도 다른 방식의 지원방식이 좋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김지환/서울 양천구 신정동 : 상품권을 잘 안 쓰니까 현금으로 주거나 카드 포인트로 돌려주는 방식으로 주는 게 더 나을 거 같아요.]
추가 대책을 마련한다면 지원 대상을 코로나19로 타격을 받은 계층으로 좁혀야 한다는 조언도 나옵니다.
[조영무/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 이번 사태로 악영향 받을 수 있는 계층에 보다 더 적극적인 소득 지원하는 게 낫지 않나 생각 들고…]
소상공인에게도 낮은 이자의 대출을 해 줄 게 아니라, 현금을 지원하는 게 낫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하지만 정부는 현금을 받은 사람들이 쓰지 않고 저축하면 지원효과가 나지 않을 수 있다며 난색을 표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