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외교부 "일본발 입국규제, 국민안전 최우선 둔 절제된 조치"

입력 2020-03-08 19:31

"한국이 강경한 게 아닌 일본의 5대 조치가 과잉"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한국이 강경한 게 아닌 일본의 5대 조치가 과잉"


[앵커]

외교부도 오늘(8일) 이런 맞대응 조치를 취한 배경에 대해 입장을 내놨는데요. 서울청사를 다시 연결합니다.

배양진 기자, 외교부의 설명부터 정리를 해주시죠.

[기자]

오늘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기자들과 만나서 "국민보건안전을 최우선에 두면서도 절제된 상응조치를 취했다"고 했습니다.

일단 일본에서 지역사회 감염 환자가 늘어나는 데 따른 방역상의 조치라는 점을 강조한 겁니다.

이런 가운데 방역당국도 이걸 뒷받침하는 설명을 내놨습니다.

"이탈리아와 중동, 그리고 일본에서 지역사회 감염이 많이 일어나면서 해외로부터 전파될 우려가 다시 커지고 있다"는 것입니다.

[앵커]

배 기자 얘기처럼 이란과 이탈리아에서도 지역사회 감염이 나오고 있는데, 일본에만 이런 조치를 취하는 이유는 뭐라고 설명을 했습니까?

[기자]

일단 정부는 방역 목적으로 일본 지역 입국 제한을 논의가 있었다고는 했습니다.

다만 그런 검토를 하는 중에 일본 쪽에서 먼저 조치를 취한 게 이번 결정의 배경이라고 했습니다.

이부분에 대해선 청와대에서도 오후에 입장을 냈습니다. 잠깐 들어보시죠.

[강민석/청와대 대변인 : 한국이 강경한 게 아니라 이번 일본의 5대 조치가 과잉이었습니다. 한국의 조치는 코로나19 대응 3원칙에 따라 일본과는 다른 절제된 방식이었습니다.]

당초 정부 내에선 더 강경한 조치도 논의가 됐다고 합니다.

지역사회 감염이 많이 일어난 홋카이도에서 오는 입국을 금지하는 것과 우리도 똑같이 일본 입국자를 14일 격리하는 방안도 논의가 됐었다고 합니다.

관련기사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