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앵커브리핑]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입력 2019-12-26 21:39 수정 2019-12-26 21:46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뉴스룸의 앵커브리핑을 시작하겠습니다.

13년 전의 오늘(26일) 모든 신문 1면의 주인공은 바로 이 사람들.

한국 최초의 우주인 후보가 정해졌다는 소식에 모두가 가졌던 첫 번째 생각은 아마 '우리도…(언젠가)' 였을 것입니다.

물론 결말은 해피엔딩으로 남지 못했지요.

몇 년 지나지 않아서 희망은 가라앉았고 우주는 다시 우리 삶으로부터 멀어졌습니다.

골든 레코드
우주탐사선 보이저호에 담은 지구를 알리는 음반

그보다 더 오래전인 1977년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구리로 만든 LP판 모양의 '골든 레코드'를 보이저 1호와 2호에 실어서 우주로 보냈습니다.

"안녕하세요? 지구인입니다"

이 골든 레코드는 서로 다른 쉰다섯 개의 언어로 녹음한 인사말과 인류가 사랑한 음악과 사진을 품은 채로 지금 이 시간에도 우주를 유영하고 있을 터인데, 칼 세이건의 그 소망처럼 우리는 언젠가 새로운 우주를 만날 수 있을까…

"그들은 분명히 알 것이다. 우리가 희망과 인내를… 그리고 우주와 접촉하고자 하는 뚜렷한 열의를 지닌 종이었다는 사실을"
- 칼 세이건 < 지구의 속삭임 >

"하지만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같은 우주라는 개념이 대체 무슨 의미가 있나?"
- 김초엽 <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과학을 전공한 SF작가 김초엽은 작품을 통해서 질문을 던졌습니다.  

바로 곁에서 살아가는 이들의 말조차 귀 기울이지 않는 반면에, 또다시 새로운 누군가와 소통하기 위해서 수많은 비용과 노력을 낭비하고 있는 것은 아이러니다, 하는 것이죠.

"아무리 우주를 개척하고 인류의 외연을 확장하더라도… 
우리는 점점 더 우주에 존재하는 외로움의 총합을 늘려갈 뿐인 게 아닌가"
- 김초엽 <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 (일러스트 : 이규태, 자료 : 동아시아)

작가는 어느 시대와 공간을 살아가든 서로를 이해하려 하지 않는다면 "아무리 우주를 개척하고 인류의 외연을 확장하더라도 우리는 점점 더 우주에 존재하는 외로움의 총합을 늘려갈 뿐"이라고 말합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어로도 녹음이 되어 있는 보이저호의 실린 지구인의 인사말.

그러나 천문학자들에 따르면 그 메시지가 실제로 외계생명체에 닿을 확률은 매우 희박합니다.  

그것은 오히려, 오늘을 사는 우리, 지구인 스스로를 향해 존재해야 한다는 의미였습니다.

"이 메시지는 지구인을 위한 것이기도 하다"
- 문홍규/한국천문연구원 책임연구원

끊임없이 새로운 영역을 꿈꾸고 소망하지만, 우리가 우주를 향하여 어차피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는 것'이라면…

먼저 나의 옆 사람에게 당도하라는…

그것이 없다면 우리의 삶은 얼마나 피폐한 것인가…

13년 전의 떠들썩함이 이만큼이나 허무한 것처럼 말입니다.

오늘의 앵커브리핑이었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