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외교부 "동의한 적 없다"…일본 '역사 왜곡·외교 기만'

입력 2019-11-11 20:32 수정 2019-11-12 11:42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트위터


[앵커]

이런 일본 외무성의 주장에 대해 우리 외교부는 당연히 펄쩍 뛰었습니다. 우리가 쓰는 공식 표현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라는 것일 뿐이지 성노예 상태를 부인한 적은 결코 없었다는 설명입니다.

김소현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 외교청서의 내용이 언론을 통해 알려지자 우리 외교부는 반박 입장을 밝혔습니다.

2015년 위안부 합의 당시 우리 정부가 밝힌 건 우리가 쓰는 공식 명칭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문제'라는 것뿐이었다면서 "성노예란 표현을 쓰지 않겠다고 한 적은 없다"고 한 것입니다.

외교부는 이 같은 설명을 2017년에도 확인한 바 있습니다.

현 정부 출범 직후 2015년 박근혜 정부 때 이뤄진 '위안부' 합의를 재검토하는 태스크 포스를 꾸렸는데 거기서 확인한 것입니다.

실제 TF가 낸 보고서엔 "일본 측이 성노예란 표현을 쓰지 않기를 바랐지만, 한국 측이 국제적으로 쓰이는 용어란 점을 들어 반대했다"고 돼있습니다.

다만 TF는 이런 논쟁 자체를 외교부가 2015년에 비공개했다는 점에서 "일본 측이 이 문제에 관여할 여지는 남겼다"는 평가도 보고서에 담았습니다.

이런 가운데 외교부는 오늘(11일) 논란이 커지자 "지난 4월 외교청서가 나왔을 때 이미 일본 측에 이런 지적을 했다"고 뒤늦게 밝혔습니다.

(영상디자인 : 조영익)

관련기사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