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청와대를 연결해서 우리 청와대, 그리고 정부의 대응은 어떻게 되는 것인지 좀 더 자세히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청와대 심수미 기자 연결 돼 있습니다.
심 기자, 오늘(2일) 문재인 대통령 발언, 수위가 높다는 반응입니다. 사실상 한·일 관계가 '강대강' 대결 국면으로 접어들었다고 봐야 할까요?
[기자]
앞서 보셨듯이 우리는 7월 한달간 일본에 특사를 보냈고요, 이틀 전에도 고위급 협의를 제안했습니다.
이런 외교적 노력을 다했음에도 일본이 바뀌지 않자 문 대통령이 보다 확실한 메시지를 던진 것입니다.
수출규제에 상응하는 조치를 분명히 하겠다는 것이고 그런 맥락에서 일본도 상당한 피해를 입을 수 있다고 경고한 것입니다.
일본이 일방적으로 확대한 수출규제 조치의 명분이 없다는 점도 분명히 했습니다.
문 대통령은 "강제징용 판결에 대한 무역보복"이라면서 "인류 보편적 가치와 국제법의 대원칙을 위반하는 행위"라고 비판했습니다.
경제적으로도 자유무역 질서에 위배되는 행위라고 했습니다.
일본은 또 '안보' 문제라고 주장을 하고 있지만 이 역시 제3기구 검증을 받자는 우리 제안은 거절하고 있는 상태입니다.
[앵커]
이번 조치로 가장 우려가 되는 것은 우리 기업의 피해 아닙니까? 청와대는 여기에 대해 뭐라고 이야기 합니까?
[기자]
사실 정부가 더 일본을 향해 날을 세우는 핵심 배경이 바로 경제 문제입니다.
문 대통령은 "우리 경제의 미래성장을 가로막아 타격을 가하겠다는 의도"라고 했습니다.
우리 수출품목의 중요 비중을 차지하는 반도체는 소재·부품의 일본 의존도가 지나치게 높았고, 일본 정부가 정확히 이 숨통을 끊으려 한다고 보는 것입니다.
김현종 2차장은 이를 '가마우지 경제체제'에 빗댔습니다.
아무것도 삼키지 못하게 목줄이 죄어 있는 상태에서 아무리 물고기를 사냥해도 어부 좋은 일만 시키는 가마우지 물새처럼, 우리 경제도 그동안 소재·부품의 원산지인 일본 배만 불리는 꼴이었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오히려 이번 기회에, 일본 의존도를 대폭 낮추고 소재·부품 강국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김 차장은 말했습니다.
[앵커]
강대강 국면이라고 하더라도 외교적인 채널은 열어놔야 될 것이고 외교적인 노력, 계속 해야 된다는 이야기들 나옵니다. 외교적인 방법 무엇이 있을까요?
[기자]
청와대 관계자는 '중재'보다는 '관여'가 맞다면서도 미국의 역할에 기대감을 버리지 않았습니다.
동북아 안보에 있어 미국의 영향력이 한·일 양국에 모두 적지 않은 만큼 오늘 한·미·일 외교장관과 같은 크고 작은 대화 창구는 계속 이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대화와 함께 외교적인 압박도 할 텐데요.
우선 외교부 조세영 차관은 나가미네 주한 일본 대사를 초치해 화이트리스트 제외 결정에 항의했습니다.
또 국제무대에서 일본 조치의 부당함을 피력하는 노력도 계속 할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는 밝혔습니다.
[앵커]
잘 들었습니다. 청와대 심수미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