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경제 넘고 '도' 넘어…일, 한국 사실상 '안보우려국' 취급

입력 2019-07-03 20:18 수정 2019-07-03 22:42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아베는 수출 규제 조치를 시작으로 우리나라에 대한 보복과 공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그런데 일본 정부 문서를 살펴본 결과 이번 조치에는 경제뿐만이 아니라 안보 이슈까지 포괄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반도체에만 국한해서 볼 것이 아니라 향후 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인데 어떤 대목 때문인지, 먼저 구혜진 기자가 전해드리겠습니다.

[기자]

일본 정부가 공개한 '규제 사전평가서'입니다.

수출 화이트리스트에서 한국을 빼는 이번 조치의 효과와 영향 등을 검토한 문서입니다.

규제의 이유로 우리나라의 무역관리 제도, 특히 '캐치올 규제'가 불충분하다는 내용이 두 번이나 언급됩니다.

'캐치올 규제'는 대량살상무기 등에 이용될 수 있는 물자의 수출을 통제하는 제도입니다.

한마디로 한국의 전략 물자 관리 능력을 믿을 수 없다는 것입니다.

"한국의 무역이 제대로 관리되고 있는지 확인이 어렵다"는 언급에서도 일본의 인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송기호/변호사 (민변 국제통상위원회) : 일종의 안보 감시국으로 지정한 것이 이번 사건의 중요한 본질입니다. 안보 이슈에 의해 조치를 한다는 걸 설정하는 동시에 남북 사이 경협에 대한 일정한 견제죠.]

단기적인 경제 보복에서 끝나지 않을 수 있는 근거가 되는 것입니다.

'한국의 안보를 믿을 수 없다'는 논리로는 모든 기술 설비, 부품의 수출을 통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영상디자인 : 김충현)

관련기사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