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중국 측의 적반하장식 반응에 한·중 환경회의에 나서는 정부의 입장도 바뀌었습니다. 당초에는 중국을 달래가면서 협력을 강화할 계획이었지만, 이제 할 말은 세게 하기로 했습니다. 그런데 상황은 그렇게 녹록지만은 않습니다.
오효정 기자입니다.
[기자]
한·중 양국은 자리에 앉자마자 신경전을 펼쳤습니다.
[황석태/환경부 기후변화정책관 : 한국은 (미세먼지 경보) 기준을 강화했습니다.]
지금보다 공기질이 더 나아져야 한다는 것입니다.
[궈징/중국 생태환경부 국제합작사 사장 : (오늘 아침 서울의) 공기가 매우 신선하고 좋았습니다.]
한국이 중국발 미세먼지를 탓할 필요가 없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이런 신경전은 지난 주말까지만 해도 예상하기 어려웠습니다.
민감한 내용은 회의테이블에 올리지 않는다는 것이 당초 환경부 입장이었습니다.
공동연구를 추진하겠다는 원론적인 내용만 거론하기로 한 것입니다.
그러다 어제(21일) 중국측 돌발 발언이 나왔고, 환경부 입장도 확 달라졌습니다.
환경부 관계자는 "중국 영향이 크다는 것인 상식"이라며 "회의에서 할말은 세게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어젯밤 늦게까지 전문가까지 불러가며 대응책도 마련했습니다.
문제는 이런 일이 반복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
조명래/환경부 장관 (2018.11.21)
"한·중은 힘의 불균형 심해"
조명래/환경부 장관 (2018.12.04)
"중국발 미세먼지 특단의 조치 있어야"
류유빈/중국 생태환경부 대변인 (2018.12.28)
"서울 미세먼지는 주로 서울에서 배출돼"
조명래/환경부 장관 (2018.12.31)
"중국과 협력 확대해야"
조명래/환경부 장관 (2019.01.15)
"고농도 미세먼지 국내발도 있지만 국외발도 상당"
류빙장/중국 생태환경부 대기국장 (2019.01.21)
"중국 비난만 하다간 미세먼지 줄일 기회 놓칠 것"
+++
일관되게 "우리 탓을 하지 말라"는 중국을 매번 다그치기가 어려운 것이 현실입니다.
중국이 회의장을 박차고 나가버리면 어떤 논의도 진행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환경부는 이번 회의에서 공동연구보고서 진행 상황을 점검하고 자료 요구도 할 방침이지만 어려움이 예상됩니다.
한편 문재인 대통령은 오늘 미세먼지 문제로 국민들의 답답한 마음을 해결하지 못해 송구스럽다며 대책을 주문했습니다.
(영상디자인 : 신재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