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비하인드 뉴스] 주차장 입구 막은 '보복 주차'…뒤늦은 '사과'

입력 2018-08-30 22:07 수정 2018-08-30 23:46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오늘(30일) 팩트체크는 좀 더 팩트체크할 일이 있어서 지금 준비 중이어서 내일. 내일은 금요일이군요. 다음 주에 좀 더 잘 준비해서 진행을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비하인드 뉴스로 바로 넘어왔습니다. 박성태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세요. 첫 번째 키워드를 열어볼까요.
 

[기자]

첫 키워드는 < 뒤늦은 '사과' > 로 잡았습니다.

[앵커]

이것은 무슨 얘기인 줄 알겠는데 어제 왜 주차장에 차 막아놓은 사람.
 

[기자]

그렇습니다.

[앵커]

그냥 해프닝으로 끝날 줄 알았는데 오늘까지 얘기가 계속되더군요.

[기자]

맞습니다. 어제 인천 송도의 한 아파트 주차장 앞을 막았던 한 외제차 얘기인데요.

주차위반 스티커에 좀 분노를 해서 차로 아파트 주차장 입구를 막아버리자 주민들이 차를 들어서 인도로 옮겨놓고 오늘 저렇게 많은 스티커를 차에, 아니 어제죠.

많은 스티커를 붙여놓기도 했습니다.

그런데 남의 차에 스티커를 붙여놓으면 안 되기 때문에 오늘 한때는 저 스티커를 걷어서 따로 놓고요.

가수 설현 씨의 입간판을 어디서 한 주민이 가지고 와서 스티커를 분류해 놨습니다.

그리고 베스트 포스트잇, 정확히 말하면 포스트잇인데요.

저 포스트잇에 투표를 해 달라라고 주민에게 투표했고요.

가장 많이 투표를 받은 베스트 포스트잇은 빨리 사과해라라는 것이었습니다.

[앵커]

설현 씨는 지금 이유도 모르고 소환 돼 있는 상황이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여러 광고에 입간판으로 등장하기는 했는데 자동차 앞의 포스트잇으로 등장하기도 했는데 오후 4시 이후에는 설현 씨의 입간판도 사라졌습니다.

일단 주민들이 자동차를 못 움직이게 했었는데요.

차주는 아예 해당 차를 중고차로 팔려고 내놨습니다.

그래서 그 중고차 매매인이 와서 차를 견인해 가려했지만 저렇게 바퀴에다가 자물쇠를 주민들이 채워놔서 결국은 차를 못 끌고 갔었습니다.

[앵커]

하루 종일 여러 가지 일이 있었군요. 그런데 조금 전에 해결됐다는 얘기도 있던데 어떤 얘기입니까?

[기자]

그렇습니다. 조금 전인 약 8시 50분쯤에 차주가 대리인을 통해서 사과를 했습니다.

[앵커]

정말 조금 전이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먼저 아파트에 들어갈 때는 자동차를 주차등록을 해야 되고 그러면 관리사무소에서 홀로그램으로 된 스티커를 주는데 이 홀로그램 스티커를 본인이 "잘 몰랐다. 나는 잘 모르는데 내 차에 왜 본드까지 붙여서 주차위반 스티커를 붙였는지 조금 전까지도 본인이 거기에 화가 났었는데 홀로그램에 대해서 설명을 듣고 보니 이해가 되고 내가 잘못했더라 그러면서 적반하장인데 주민들이 주차를 못하게 주차장입구까지 막은 것도 죄송하다" 했고요.

불편을 초래했다면서 주민들에게 사과를 했습니다.

대리인이 와서 사과를 했는데 이 부분은 본인이 직접 얼굴을 들고 나서기가 힘들기 때문에 대리인이 대독을 하도록 했다라는 것이고요.

차는 이미 뉴스에 난 대로 팔 것이라고 했고, 아파트도 떠난다고 했습니다.

[앵커]

그 집을 팔고 다른 데로 간다는 얘기인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사실 주차위반 스티커를, 더군다나 강력본드로 붙여서 하면 더군다나 여러 장을 붙이면 누구나 화가 날 법도 하지만 과잉대응을 했다가 사실 뉴스에도 나오고 어떻게 보면 많은 비판을 받은 격이 됐는데 이웃사촌끼리, 이웃사촌인데 조금만 더 순하게 대응했으면 나았지 않았을까 하고요.

앞으로 좀 잘 해결되기를 바라겠습니다.

+++ 알립니다 +++

차주의 사과문은 차주 대리인이 아닌 입주자 대표회의 회장이 대독했습니다. 이에 정정합니다.

+++

[앵커]

다음 키워드를 열어볼까요.

[기자]

다음 키워드는 < 정확했던 '하마평' > 입니다.

[앵커]

오늘 개각 얘기인가요?

 


[기자]

그렇습니다. 5개 부처 장관의 개각이 오늘 이루어졌는데요.

대부분 언론의 예상대로 됐습니다.

언론이 이렇게 맞히기가 쉽지 않은데 이번에는 정확히 다 맞혔습니다.

[앵커]

대개 언론에 나오면 그다음에는 대개 다른 사람으로 나왔죠.

[기자]

네. 지난 박근혜 정부 때는 그런 일들이 많았었는데요.

이번에는 거의 비슷하게 나왔습니다.

지난 24일날 동아일보 보도인데요.

'여성-환경-고용부 장관 교체가 거론된다, 유은혜 의원의 입각이 유력하다'라면서 당시에 '여가부 장관이나 교육부 장관에 입각할 것 같다'라고 했는데 교육부 장관, 사회부총리로 오늘 내정됐습니다.

의원실에 물어보니까 처음부터 여가부 장관은 대상에 없었고 교육부총리로 준비를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유은혜 장관뿐만 아니라 양향자 전 최고위원, 지금 차관급으로 내정이 됐는데요.

역시 임명이 됐죠.

차관급으로 임명이 됐는데 이름도 이미 보도로 나왔었고요.

유임이냐, 교체냐로 8월부터 말이 많았던 송영무 국방부 장관도 이미 28일날 중앙일보 보도에 따르면 경질로 가닥이 잡혔고 후임 정경두 합참의장도 사실 당시부터 거의 확정적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보도도 해 드렸죠, 그래서.

[기자]

그렇습니다. 고용노동부 장관에 이재갑 전 차관 또 산업부 장관에 성윤모 특허청장 내정자까지 언론들이 예상한 것이 거의 그대로 맞았습니다.

내부적으로 개각 보고가 있었는데 거의 일치하고요.

심지어 오늘 3시에 청와대가 개각을 발표했는데 오전에 이름을 '참고'라는 이름을.

잠깐 카톡 내용을 보면 '참고'라는 이름으로 정확한 출처를 알 수 없는 다만 내용은 아주 정확한 정보가 저렇게 있었고요.

[앵커]

돌았습니다.

[기자]

청와대의 이성대 반장이 오전에 저런 정확한 정보가 돌고 있다고 보고를 했습니다.

환경부 장관만 빠졌었는데요.

검증 문제 때문에 조만간 또 있을 것으로 예상이 되고 나머지는 똑같이 됐습니다.

[앵커]

언론이 근거 없이 예상한 것은 아닐 테고 인사가 그렇게 비밀리에 이루어졌다고 보기가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기자]

그렇습니다. 그래서 제가 여당 관계자에게 물어보니까 이번 인사가 아무래도 전국 "쇄신 차원의 인사이기 때문에 나중에 검증에서 말이 나오면서 안 돼서 폭넓게 평판을 조회하는 과정이 있었던 듯"하고 그중에서 많이 새 나간 것 같다고 얘기를 했습니다.

그런데 정부와 여당이 사실 검증 대상 인사를, 인사의 하마평을 미리 올려서 언론에 1차 검증을 꾀한 것 아니냐라는 해석도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 이런 방식은 이전에 김영삼 전 대통령이 주로 썼던 방식인데 하마평에서 부정적이면 사실 그거는 언론이 잘못 예측한 것이다 하고 빼면 되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손쉬운 방법이었습니다.

[앵커]

그러다 보니까 결과적으로 보면 이른바 깜짝 인사는 없는 셈이 됐습니다.

[기자]

그렇습니다.

[앵커]

지난번 정부만 해도 깜짝 인사가 많았는데.

[기자]

그렇습니다. 박근혜 정부 때 윤창중 대변인을 시작으로 현오석 경제부총리 특히 윤진숙 해수부 장관 등 언론에서 전혀 예상하지 못했던 깜짝 인사들이 많이 나오기도 했었습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은 사실 인사가 미리 새어나가는 것을 극히 꺼려했었는데요.

새누리당 비대위원장 시절에 비대위원 명단이 지금 보도국에 유미혜 기자가 당시 특종으로 썼었는데 바로 다음에 의원들에게 "어떤 촉새가 나불거려서 명단이 나갔다"라는 말로 하고 그다음부터는 하마평에 절대 올라갈 수 없고 보안에 당시 여당 의원들이 상당히 신경을 많이 썼었습니다.

대통령이 된 뒤에도 보안을 강조하다 보니 하마평에 오르는 것이 사실상 살생부다, 그러니까 원래 염두에 뒀다고 하더라도 하마평에 오르면 바로 바꾸고 다른 사람으로 한다라는 얘기까지 있었고요.

실제 기자들에게 하마평 대상 인물들이 내 이름은 빼달라, 이렇게 부탁하기도 했습니다.

미리 여론을 들어보는 것이 사실 보다 더 신중한 인사를 할 수 있지만 다만 세간에 알려지지 않은 인사를 할 때는 그런 하마평을 들을 수가 없기 때문에 사실 발탁인사는 어렵다는 단점도 있습니다.

[앵커]

세 번째 키워드 열어볼까요.

[기자]

세 번째 키워드는 < 너희 동네 '새마을'? > 로 잡았습니다.

[앵커]

이건 무슨 얘기입니까?

[기자]

사진을 잠깐 보면 경북 구미에 있는 새마을공원 테마공원입니다.

[앵커]

저런 데가 있나요.

[기자]

몇 년간 공사를 해서 지난 7월에 완공이 됐습니다.

모두 907억 원의 예산이 소요됐는데 박정희 전 대통령이 새마을운동 취지를 살리자라는, 정신을 배우자라는 의미로 만들어졌는데 문제는 경상북도와 구미시가 저 새마을운동 테마공원을 서로 상대방이 좀 운영을 해라라고 떠넘기고 있습니다.

구미시 관계자에게 물어보니까 "이 새마을테마공원 기획도 경상북도가 했고 사업 공사 발주도 경상북도가 했으니 당연히 운영도 경상북도가 맡아야 한다"라고 주장을 했습니다.

하지만 경상북도는 저것이 공원인데, 공원은 법상 기초자치단체가 운영을 하도록 돼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구미시가 맡아야 된다"는 입장인데요.

그러자 구미시에서는 "공원이 아닌 시설로 용도변경을 해서 도가 맡아라"라는 입장입니다.

[앵커]

사실 옛날에는 서로 자기들이 하려고 했는데 요즘 다 떠넘기는 분위기인 모양이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박근혜 정부 때는 박정희 전 대통령의 치적을 앞세우려고 일부 자치단체장들이 상당히 노력을 많이 했는데 지금은 분위기가 좀 바뀐 모습입니다.

특히 구체적인 문제는 비용 때문인데요.

건설은 국비와 그전에 있던 예산으로 했지만 당초 예정으로는 운영비가 1년에 약 60억 원이 예상되는데.

[앵커]

그렇게 많이 들어가나요?

[기자]

그렇습니다. 어떻게 보면 뒤에도 말이 좀 많을 것 같은 시설을 운영하면서 운영비까지 부담해야 되니 서로 운영 주체를 안 맡겠다는 입장입니다.

박근혜 전 대통령 시절 아무래도 정치적 배경을 가지고 추진된 사업이다 보니까 뒤에도 말이 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박성태 기자였습니다. 수고했습니다.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