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이슈플러스] 편견 탓에 말 못하는 고통…'동성 성폭력'

입력 2018-08-26 20:55 수정 2018-08-26 23:28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그동안 "나도 성폭력 피해자다", 미투 고백이 많았지만 아직 수면 위로 드러나지 않은 고통이 많습니다. 남성이 남성에게, 또 여성이 여성에게 성폭력을 당한 경우에 특히 그렇습니다. 주변에 알려도 사소한 일로 치부하거나, "불편하다"며 외면해버리는 현실 때문입니다.

먼저 오선민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1999년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은메달과 동메달을 따면서 주목받기 시작한 전 쇼트트랙 선수 최민경 씨.

2002년 솔트레이크 동계올림픽 3000m 계주에서 금메달을 따며 정상에 올랐습니다.

은퇴 후 대한체육회 직원으로 근무해 온 최 씨는 지난해 여성 간부 A씨에게 치욕적인 일을 당했다고 말했습니다.

회식으로 간 노래방에서였습니다.

[최민경/전 쇼트트랙 선수 : 저한테 목을 휘어감고 '너 나한테 잘 보이면 대한체육회에서 클 수 있어. 내가 하란 대로 해'하면서… 저한테 침을 묻혔거든요.]

A씨가 강제로 자신의 얼굴에 입을 맞추는 등 성추행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최민경/전 쇼트트랙 선수 : 너무 치욕스럽고 수치심 느끼고. 억울했어요. 이걸 어디다 말할 수는 없고…]

20대 남성 B씨도 최 씨와 같은 고통을 호소합니다.

B씨는 7년 전 고등학교 반 친구들에게서 성적 학대를 당했다고 털어놨습니다.

[B씨 : 계속해서 제 몸을 만지고. 저를 완전히 운동기구 취급하고 학교 옥상에서 저를 들고 뱅뱅 돌린다거나…]

친구들의 폭력과 성추행은 1년간 계속됐다고 말했습니다.

[B씨 : 제가 체구가 굉장히 작고 몸이 말랐거든요. 남성성이 결여돼 있다고 그들에게 판단이 됐나 봐요.]

피해 사실을 이야기하기까진 7년이라는 시간이 걸렸습니다.

[B씨 : 사회적으로 그렇잖아요. 남자가 저항할 수도 있지. 남자가 왜 여자애같이 당하고만 앉아 있나.]

최 씨 역시 사건 이후 7개월을 A씨와 같은 사무실에서 일해야 했습니다.

[최민경/전 쇼트트랙 선수 : 내부에서 자꾸만 여자가 여자한테 하는 거는 성추행이 아니라고. 아무것도 아닌 일을 왜 크게 벌이느냐고…]

피해자들은 동성 간 성추행을 불편하게 바라보는 사회적 시선 때문에 피해 사실을 털어놓기 더 어렵다고 말합니다.

전문가들은 성적 자기 결정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모두 성폭력으로 인식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관련기사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