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광주교도소 5·18 암매장 발굴…6일 문화재 출토방식 전환

입력 2017-11-05 15:58

손으로 약 10㎝ 깊이 파헤치며 정밀조사…매장문화 조사기관이 총괄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손으로 약 10㎝ 깊이 파헤치며 정밀조사…매장문화 조사기관이 총괄

옛 광주교도소 5·18 행방불명자 암매장 추정지 발굴이 오는 6일부터 문화재 출토방식으로 전환된다.

5일 5·18기념재단에 따르면 광주 북구 문흥동 옛 교도소 북쪽 담장 주변 재소자 농장 터에서 손으로 땅을 파 암매장 흔적을 찾은 작업이 6일 오전 시작된다.

매장문화 조사와 연구, 보존을 전문으로 하는 민간단체 대한문화재연구원이 5·18재단 의뢰로 발굴 실무와 현장 총괄을 맡는다.

연구원은 암매장 추정지에 작업자를 투입해 작은 삽 등 손 공구로 약 10㎝ 깊이씩 땅을 파헤치면서 정밀조사를 한다.

의심스러운 물체가 나타나면 채로 흙 알갱이를 걸러내 유해 여부를 선별한다.

소형 굴착기도 현장에서 대기하며 중장비가 필요할 경우 일손을 거든다.

애초 현장 총괄을 맡기로 했던 조현종 전 국립광주박물관장은 최인선 순천대 문화유산연구소장 등 고고학 분야 전문가 그룹과 함께 발굴 전반을 자문한다.

5·18재단은 지난 4일 옛 교도소를 소유한 법무부로부터 발굴 착수 승인을 받자마자 현장에 중장비를 배치하는 등 작업에 들어갔다.

공정은 콘크리트 포장과 수풀 등 겉흙층 장애물을 제거하고, 쇠말뚝과 노끈으로 작업 구획을 나누는 단계까지 마친 상태다.

5·18 암매장 추정지 발굴 현장에는 유적지 조사에서 쓰이는 트렌치(Trench·시굴 조사 구덩이) 설치도 이뤄질 예정이다.

트렌치는 농장 터 땅 밑에 유해가 존재하는지, 과거 몇 차례나 흙을 파내고 다시 메웠는지 등 정교한 지질 정보를 제공한다.

흙을 건드려 구덩이를 파낸 적이 있는지, 중장비를 동원했는지 손으로 작업했는지도 알 수 있다.

땅속에 있는 물체가 시신인지 아닌지, 시신이 있었는데 매장 후 다시 파갔는지 등 땅속 변동 이력도 상세하게 분석할 수 있다.

재단은 날씨 상황이 좋다면 발굴 착수 약 15일 뒤에 유해 존재 여부가 판명된다고 설명했다.

현장에서 5·18 행방불명자 유해가 나오면 광주지방검찰청이 수사에 나설 방침이다.

재단은 유해수습과 신원확인 주체를 두고 검찰과 협의 중이다.

김양래 5·18재단 상임이사는 "3공수 지휘관이 검찰에서 '시신 12구를 2구씩 포개서 묻었다'고 진술한 6개의 구덩이를 찾는 게 이번 발굴의 최우선 목표"라고 말했다.

재단과 5월 단체는 1980년 5월 당시 계엄군으로 투입된 3공수여단 지휘관이 검찰 조사에서 작성한 약도와 시민 제보 등을 토대로 옛 교도소 일원을 5·18 암매장지로 지목했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청와대] '실오라기까지 온전히'…37년만 옛 광주교도소 발굴 '5.18 암매장 추정' 옛 광주교도소, 30일부터 발굴 시작 5·18계엄군 37년만의 증언…"시신에 신분증 얹어 암매장했다" 옛 광주교도소 일원 5·18 암매장 추정지 "농장터 외 4곳 더" 신원 파악 막으려 시신에 페인트칠…'5·18 문건' 확인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