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밀착카메라] 일회용 컵 속 음료…청소원들 '처치곤란'

입력 2017-07-25 22:09 수정 2017-07-25 23:33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요즘같은 날씨에 시원한 음료, 많이 찾게 되지요. 마시는동안 잠깐이나마 더위를 식힐 수가 있는데 이렇게 한사람 한사람이 날려버린 더위가 고스란히 모여있는 곳이 있습니다. 먹고남은 컵들이 쌓인 쓰레기통, 밀착카메라가 그 속을 들여다봤습니다.

구혜진 기자입니다.

[기자]

저는 지금 서울의 한 지하철 역에 나와있습니다. 이렇게 지하철을 청소하시는 청소원 분들의 차를 보면요. 다들 이 양철통 하나씩을 가지고 다닙니다. 이 양철통 안을 자세히 보면요. 탁한 액체와 함께 군데군데 이렇게 과일찌꺼기 같은 것도 남아있는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렇게 왜 다들 양철통을 가지고 다니시는지 지금부터 알아보겠습니다.

일회용 컵들이 쓰레기통을 가득 메웠습니다.

빈 것도 있지만 먹다 남은 음료와 얼음이 남아있는 게 대부분입니다.

[지하철 청소원 : 다 먹었다고 생각하니까 쓰레기라고 생각하겠죠. 그러다 보니까 그냥 던지는 거예요. 무심결에. 뛰어가면서 버리고…]

컵 속에 남아있는 액체를 일일이 분리하기 위해 양철통 하나씩을 가지고 다니는 겁니다.

5L통이 금세 가득 차고 청소 카트가 턱을 지날 때마다 넘칠 듯 출렁입니다.

이럴 땐 화장실까지 들고 가 통을 비워야 합니다.

[지하철 청소원 : (한 번에) 다섯 개 정도 나와요.]

쓰레기통 안을 자세히 한번 살펴보겠습니다. 여기 보시면 타피오카 펄이 이렇게 많이 남아있는데도 이렇게 버렸고요. 이렇게 보시면 커피가 절반 가까이 남아있는 상황인데도 쓰레기통에 던져 버렸습니다. 안쪽을 좀 보겠습니다. 보시면 이렇게 컵이 뉘어져 있어서 물이 계속해서 새고 있고요. 이 아래를 보시면 신문지를 깔아놨는데도 흥건히 젖어있고 물이 찰랑찰랑할 정도입니다.

쓰레기들이 젖으면서 악취까지 납니다.

쓰레기통 바닥에 까는 신문지도 수시로 갈아줘야 합니다.

[지하철 청소원 : 커피를 하도 많이 흘리니까 지저분하고 냄새나고요. 신문을 깔면 냄새도 제거되고요. 물이 흐르니까 마르라고 까는 거예요.]

신문지를 깔고 나면 날파리를 막기 위해 모기약도 뿌립니다.

쓰레기통 하나를 정리해보니 비닐 포장된 컵은 더욱 처리하기 힘듭니다.

한 쓰레기통에서만 컵 25개가 나옵니다.

[지하철 청소원 : (시간이 얼마나 더 걸려요?) 한 40분. 커피 물 쏟으면 그거를 다 정리해야 하니까…쏟고 또 버리고 분리를 다 하고요.]

거리도 사정은 비슷합니다.

잔 속 내용물에 개미가 걸어 다니고 컵 안에 쓰레기를 버리기도 합니다.

쓰레기통도 일회용 잔으로 가득 찼습니다.

[A 씨/강서구 환경미화원 : 절반도 안 먹고 버리거나 특히 버스정류장은 더 심하죠. 장갑을 끼면 장갑이 다 젖겠죠.]

시민에게도 이유가 있습니다.

[국보민/제주 서호동 : 음료를 버리는 곳이 따로 없으니까…보통 안에 건더기가 있어도 쓰레기통에 건더기까지 같이 버리죠.]

저희가 이곳 지하철역에 쓰레기통 위에 플라스틱 통을 설치한 다음에요, 양면테이프로 이렇게 고정을 해놓았습니다. 그리고 남은 음료는 여기에 버려달라. 그리고 컵은 이 쪽에 버려달라고 안내를 해놨는데요. 시민들이 안내에 얼마나 따랐는지 1시간 뒤에 와서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한 시간 후 다시 가보니 남은 음료와 빈 컵이 잘 분리되어 버려졌고 바닥에 깔아둔 신문지도 젖지 않았습니다.

[지하철 청소원 : 우리도 청소하기 좋고, 일하기도 편안하고.]

최근 일부 구청에서는 액체 쓰레기를 따로 버릴 수 있는 쓰레기통 개발에 나섰습니다.

그 전까진 컵을 최대한 바르게 세워 버려달라고 청소원들은 요청합니다.

무심코 버린 일회용 컵들이 쌓여 매년 여름이면 곳곳에 청소원분들의 고생이 많습니다. 시민들의 배려가 우선이지만 이를 뒷받침할 환경을 조성하는 것도 필요해 보입니다.

관련기사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