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대기업과 비선이 동원된 정책의 허울은 여기서 그치지 않습니다. 박근혜 정권은 창조경제를 전파하겠다며 전국에 창조경제혁신센터 19곳을 세웠습니다. 물론 이 센터들의 설립도 대기업들이 낸 돈으로 이뤄졌습니다. 최근 미래창조과학부가 창조경제 지우기에 나서면서 이들 센터들도 존폐 위기에 놓였습니다.
박진규 기자가 그 현장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탄소소재, 농생명 등 첨단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조성된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입니다.
하지만 창의혁신제품 소개 코너를 보면 지역특산물 성격의 제품이 대부분입니다.
쌀과자, 치즈, 마늘액, 추어탕까지 전시돼 있습니다.
정작 창업과 연관된 3D프린터 시제품 제작실은 텅 비어있습니다.
거미줄이 보이고 먼지가 쌓여있습니다.
다른 센터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입니다.
자동차산업을 앞세운 광주는 막걸리, 태양광산업의 충남은 인삼, 스마트팩토리의 경북은 전통장 등을 혁신제품으로 홍보하고 있습니다.
지원도 대부분 일회성에 그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A 창조경제혁신센터 관계자 : 그냥 한 번, 원샷으로 딱 지원해주고 그걸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에요.]
올초까지만 하더라도 미래창조과학부는 창조경제를 중점과제로 소개해 왔습니다.
하지만 정권이 바뀌자마자 미래창조과학부는 홈페이지에서 관련 메뉴를 삭제하는 등 '창조경제 지우기'에 나섰습니다.
[최길성/세종 창조경제혁신센터장 : (미래부에서 통보는) 전혀 없었고요. 창조경제 사이트는 혁신센터와 관련된 내용이 대다수였는데 굳이 벌써 그렇게 할 필요가 있나…]
전문가들은 새 정부 역시 보여주기식 정책에 급급한다면 실패할 수밖에 없다고 조언합니다.
[정동훈/광운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 : 명제가 정확해야지 그 명제에 따라서 정부 같은 경우 정책화를 시킬 수 있습니다. 그렇지 않으면 4차 산업혁명 역시 제2의 창조경제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