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Talk쏘는 정치] '파면' 이후의 대한민국…대통합 어떻게?

입력 2017-03-10 18:58 수정 2017-03-10 19:09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정세균/국회의장 (지난해 12월 9일) : 대통령 박근혜 탄핵소추안은 가결되었음을 선포합니다.]

지난해 12월 9일, 박근혜 대통령 탄핵안 국회 가결

[이정미/헌재소장 권한대행 : 주문, 피청구인 대통령 박근혜를 파면한다.]

3월 10일 헌재, 박 대통령 파면 결정
탄핵안 통과 이후 92일 동안 갈라진 대한민국

탄핵 찬반 놓고 가족세대 간 갈등도 커져
박 대통령 파면 이후 대한민국…분열과 갈등, 어떻게 치유할 것인가?

[강지영 아나운서]

방금 보신대로 탄핵을 찬성하는 촛불집회와 탄핵을 반대하는 태극기 집회 양측의 갈등이 심각했습니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인용이 결정 된 이후 향후 우리 사회에서 벌어진 분열과 갈등은 어떻게 극복해 나가야할 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는데요. 국민들은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지 제가 직접 만나 바람들을 들어보겠습니다.

[이인용/용인시 보정동 : (탄핵 관련해서 혹시 자녀들이랑 이야기 나눠보신 적 있으세요?) 조금은 나눠 봤는데 우리 얘들은 탄핵 되는 것이 맞는 것처럼 그렇게 얘기를 하대. 나는 태극기집회니까 탄핵되는 것이 옳지 않다고 생각하는 거고…]

[하재원/서울시 등촌동 : 부모님하고 의견이 충돌돼서 가정이 불화가 생긴 경우도 있는데 다행이도 저희 가족은 그런 게 없어서…]

[장석보/경주시 황성동 : (탄핵 인용이나 기각에 대해 부모님 세대와 갈등이 있었는지?) 이번 이런 사태를 보면서 어른 세대는 우리랑 생각이 다른분들이 계시구나 느꼈습니다.]

[서창호/인천광역시 청학동 : (본인께서는 어느 쪽으로 생각을 하시나요?) 저는 오래전부터 100% 인용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죠. 앞으로 어수선하고 보수 이분들이 하겠지만 어쩔 도리 없이 우리는 거기에 승복을 해야 하거든요. ]

[원영식/용인시 보정동 : (탄핵 이후 개인적인 바람은?) 그렇지 않아도 사드라든지 여러 가지 문제점이 많은데 한 개라도 빨리빨리 해결해가지고…]

[호이슬/용인시 보정동 : (탄핵 이후 개인적인 바람은?) 비리가 없었으면 좋겠고, 취업도 잘 되었으면 좋겠고 빨리 좋아져서 좋은 뉴스만 봤으면 좋겠어요. 우리나라가…]

[장석보/경주시 황성동 : (탄핵 이후 개인적인 바람은?) 바람은 지금 서민경제가 어려우니까. 일단 서민경제부터 살리시고, 출산율 어떻게 좀 해결해주셔서 아이들이 잘 살 수 있는 나라가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조가영/캐나다 거주 : (탄핵 이후 개인적인 바람은?) 제 생각에 정부는 시민들의 생각을 더 들어야 한다고 봐요. 자기들이 뭘 원하는지 보다는 뭐든지 다 '정치'만 생각하니까요.]

[김재우/캐나다 거주 : (탄핵 관련해서 가족끼리 정치 이야기해보신 적 있으세요?) 네. 저희가 지금 캐나다에서 살고 있어서 뉴스를 접하게 되면 항상 탄핵이야기가 많이 나와서 이야기를 하게 되는데 일단 세대 간 소통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이 되고요.]

[하재원/서울시 등촌동 : (탄핵 이후 개인적인 바람은?) 정부 수장 역할 하실 분은 반드시 꼭 국론을 조금 단합시킬 수 있는 그런 계기를 만드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금까지 다양한 장소에서 다양한 의견들을 들어봤습니다. 모두 각자의 의견을 제시했지만 공통적으로는 갈등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얘기를 했는데요. 그렇다면 어떻게 갈등을 극복해야 할 지 정치권에서는 어떤 노력을 기울여야 할 지 전직 국회의장을 지낸 두 정치 원로에게 의견을 들어봤습니다.

[임채정/전 국회의장 : 우리 국민의 역량을 가볍게 평가해선 안되고 우리 국민들은 역사의 고비마다 잘못된 정치를 바로잡기 위해서 일어났던 것 아닙니까. 한국 민주주의는 국민들의 저항에 의해서 유지가 돼왔던 것인데 그것을 갖다가 터무니없는 방법으로 터무니없는 내용으로 국민의 갈등과 불안을 조성하고 사회를 불안국면으로 끌어간다고 하면 그것은 나머지 민주주의 원칙을 존중하는 국민들에 의해서 응징하게 될 것이에요. 올바른 국정, 이 나라가 그동안 쌓아왔던 적폐를 청산하고 새로운 질서의 지평을 열어주고, 이렇게 하면서 정치를 옳게 끌고 나가는 것이고 무슨 보복이라든가 그런 것은 유치한 일이니깐 보복같은 건 있을 수 없는 일이고, 다만 이 사회의 잘못된 적폐는 청산해야죠. 그렇게 하면서 올바른 정치를 끌어 나간다면 일부가 불만이 있다고 하더라도 국민 대다수가 지지하고 따라간다고 하면 그것은 국가적 합의, 국민적 합의 아니겠습니까? 그런 길로 가야죠.]

[김형오/전 국회의장 : 이제는 진정한 정치력을 발휘해야 할 때입니다. 이긴 쪽은 진 쪽을 내 국민으로서 함께 살아가야 될 사람으로서 안아줄 수 있는 포용력을 발휘해야 되고 그 포용력이 진정으로 발휘될 적에 진 쪽, 또는 자기 뜻대로 되지 않은 쪽도 일단은 승복을 해야 합니다. 승복하는 쪽은 다음에 승복함으로써 기회를 얻는 것이지 승복하지 않으면 기회마저도 영원히 없고 이 나라는 더 어려워질 것입니다. 나라가 지금 분열될 대로 분열됐기 때문에 이긴 쪽이 진 쪽을 포용하고 쓰다듬을 수 있어야 합니다. 진 쪽이 막말을 하고 험한 말 한다고 그거 핑계 대고 그러면 안됩니다. 그런 말이 안 나오도록 일시적으로 나오더라도 못 들은 체 해야 하고 그것이 승자의 아량인데 승자가 점령군이나 해방군 행세를 하려고 한다면 또 다른 나라의 비극을 불러올 수가 있으니까 승자의 도량과 도리를 발휘하고 진 쪽은 눈물은 흘리더라도 극단적인 행동까지 해서는 안됩니다.]

두 전직 국회의장 모두 결과에 승복하고 포용력을 가진 국회를 주문했습니다.하지만 다양한 목소리가 존재하는 민주주의에서 어찌보면 갈등은 필연적인 부분인데요. 그것이 분열과 증오로 이어지지 않기 위해선 통합을 위해 노력하는 정치권이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관련기사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