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렇게 야권이 탄핵안 표결 처리를 결정하면서 새누리당 비박계에 관심이 모아지게 됐습니다. 결국 비박계가 어떤 결정을 하느냐에 따라 탄핵안 가결, 부결이 결정되는데요. 국회 나가있는 여당 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
허진 기자, 야당은 탄핵안을 냈습니다. 새누리당 비박계에 관심이 모아지는데, 비상시국회의가 박 대통령에게 퇴진 일정을 구체적으로 밝히라고 요구를 했죠?
[기자]
네, 새누리당 비상시국회의는 박 대통령에게 "7일 오후 6시까지 명확한 퇴진 일정을 천명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그러면서 2선 후퇴 계획에 대한 발표도 필요하다고 했는데요.
두 가지 조건이 충족이 안 되면, 비상시국회의는 야당과 함께 탄핵 표결에 참여할 수 밖에 없다고 선언한 겁니다.
[앵커]
그렇지만, 비박계 혹인 비주류라고 해서 입장이 모두 똑같은 건 아니지 않습니까?
[기자]
네, 비박계 사이에서도 의견 통일이 안 되고 있는데요. 일단, 박 대통령이 4월 퇴진 일정을 밝히면 탄핵 표결에 불참해야 한다는 입장과, 박 대통령이 입장을 밝히더라도 여야 협상이 안 되면 탄핵 표결에 참여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갈립니다.
이렇게 의견이 갈라질 때, 하나로 의견을 모을지, 아니면 자율투표를 할지도 의견이 갈리고 있습니다.
[앵커]
의견이 갈리고 있기 때문에 누군가 의견 통일을 해야하는 상황인데, 비주류 중에서도 김무성 전 대표와 유승민 전 원내대표의 입장도 다르지 않습니까?
[기자]
네, 비주류가 탄핵 표결에 참여하는 조건을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있는데요. 하나는 박 대통령이 명확하게 4월에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히는 것, 또 하나는 여야가 이 문제에 대해 합의를 하는 겁니다.
김무성 전 대표는 하나의 조건. 즉, "대통령이 4월 말 자진퇴진 약속을 하면 탄핵안 표결에 참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유승민 전 원내대표는 첫번째 조건이 충족되더라도, 두번째 조건, 즉 "여야 협상이 결렬 될 때는 탄핵 동참에 동참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앵커]
그런데, 김무성 전 대표는 새누리당에서 탄핵에 가장 앞장서지 않았습니까? 대선 불출마 선언까지 하면서 탄핵에 앞장서지 않았습니까?, 일각에선 김무성 전 대표가 박 대통령을 향해 큰 소리를 친 뒤 30시간만에 꼬리를 내리는 '30시간의 법칙이 재현된 게 아니냐'는 해석까지 내놓고 있던데, 왜 그런 겁니까?
[기자]
김무성 전 대표는 탄핵에 걸리는 시간, 사회적 혼란 등을 고려하면, 박 대통령이 자진사퇴를 선언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김 전 대표가 정치적 계산을 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 전 대표 입장에선 분권형 개헌을 하거나, 정계개편이 필요한데, 그러려면 시간이 필요한 아니냐는 의혹이 나오고 있습니다.
일각에선 당권을 노리는 김 전 대표가 친박계 또는 청와대와 모종의 거래를 한 게 아니냐는 얘기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허진 기자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