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위안부 피해 현금 지급' 논란 확산…할머니들 반발

입력 2016-08-26 21:0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트위터

[앵커]

일본 정부가 출연할 10억 엔을 우리 정부가 현금으로 지급하겠다고 밝힌 이후 논란이 커지고 있습니다. 일부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은 기자회견을 열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안태훈 기자입니다.

[기자]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김복동 할머니는 "아직 해방되지 않았다. 정부가 어디로 가는지 몰라 속상하다"며 말문을 열었습니다.

[김복동/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 차라리 이 길로 나가려면 정부가 손을 떼는 게 좋다고, 그러면 우리가 우리대로 싸우고, 이래선 해결이 안 됩니다.]

일본 정부가 진심으로 사죄하고, 법적으로 배상하기 전엔 한 푼도 받지 않겠다는 입장입니다.

[김복동/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 이거는 배상도 아니고 보상도 아니고 위로금입니다. 우리가 위로금 받자고 이때까지 싸우고 있겠습니까.]

"소녀상은 일본 대사관을 무너뜨리려고 세운 것도 아니고, 대사관 건너편에 평화를 위해 세운 것"이라며 일본 측의 철거 요구를 일갈했습니다.

김태현 화해·치유 재단 이사장이 언론인터뷰에서 생존자 78%가 보상금을 받겠다고 말한 것에 대해선 "연락받은 게 없다"며 부인했습니다.

이에 대해 외교부는 "생존자들을 차례차례 만나 의사를 물어본 결과"라며 "일부 만나지 못한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현금 지급 반대 목소리에 대해선 "최대한 끌어안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지만, 할머니들의 반발로 진통이 불가피해 보입니다.

관련기사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