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세계 유일 열대·한대식물 공존 '곶자왈', 국립공원 추진

입력 2016-07-31 21:0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제주도의 곶자왈은 북방 한계식물과 남방 한계식물을 동시에 볼 수 있는 생태계의 보고인데요. 최근 잇따르고 있는 마구잡이 개발로 곶자왈의 4분의 1이 이미 훼손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제주도는 더이상의 난개발을 막기위해서 곶자왈을 국립공원으로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최충일 기자입니다.

[기자]

10m가 넘어 보이는 쭉 뻣은 몸체에 길고 날렵한 배 모양 나뭇잎이 이채롭습니다.

주로 대만 등 따뜻한 지역에 사는 멸종위기종인 개가시나무로, 우리나라에서는 오직 제주 곶자왈에만 680여 그루가 자생합니다.

발밑에는 한대식물인 골고사리와 관중이 뿌리를 내리고 있습니다.

한 숲에서 열대식물과 한대식물이 함께 자라고 있는 겁니다.

하지만 최근 부동산 열풍으로 곶자왈 곳곳이 파헤쳐지고 훼손되면서 흙밭만 남은 곳도 있습니다.

제주도내 곶자왈은 한경과 애월, 조천, 구좌 등 4군데에 110㎢ 규모로 분포돼 있습니다.

이 가운데 4분의 1 가량은 이미 개발로 사라졌습니다.

제주도는 곶자왈 보호를 위해 국립공원 추진에 나섰습니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개발행위가 원천적으로 차단돼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김효철/곶자왈사람들 상임대표 : 곶자왈 중 60%를 차지하는 사유지 대부분을 포함한 형태의 국립공원화 작업이 이뤄진다면 의미 있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제주도는 연구 용역 결과를 토대로 내년부터 국립공원 지정절차를 밟아 나갈 계획입니다.

관련기사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