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수천억 적자를 흑자로 조작한 대우조선…방치한 산은

입력 2016-06-16 08:0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수조원의 국민세금을 지원받게 된 대우조선해양. 감사원의 감사 결과 수천억 적자를 흑자가 난 것처럼 조작했고, 3천억원에 가까운 성과급 잔치도 벌인 것으로 드러났는데요. 이 과정에서 산업은행의 감시시스템은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이에 대해 감사원이 내린 조치는 실무 간부 2명에 대한 문책 통보 또 금융 당국에 책임과 관련된 부분은 감사 대상에서 빠졌습니다.

먼저 박성훈 기자입니다.

[기자]

대우조선해양이 공시한 2014년 사업보고서입니다.

매출액 세계 1위, 불황 속에서 실적 초과 달성 등 장밋빛 성과로 포장됐습니다.

실제 성과는 달랐습니다.

감사원이 2013년과 2014년 재무 상태를 분석해 본 결과, 4500억 원의 영업 이익을 기록했다던 공시는 6300억 대 적자였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1조 900억 원가량이 부풀려진 겁니다.

2년간 확인된 분식회계 금액만 1조 5000억 원.

원가를 축소해 영업이익이 높게 나오도록 조작하는 수법이었습니다.

출자기관인 산업은행은 이런 문제를 파악할 수 있는 재무 분석을 하지 않았습니다.

[유희상/감사원 산업금융국장 : 산업은행은 대우조선해양이 재무상태 분석대상에 해당되는데도 2013년 2월 이후 시스템을 활용한 분석을 실시하지 않았습니다.]

2012년부터 4년간 진행된 해양플랜트 계약 13건 중 12건이 심의를 받지 않았고, 이 중 11건에서 1조 2000억 원의 손실이 발생했습니다.

감사원은 산업은행에 여신 담당 간부 2명을 문책하라고 통보했습니다.

산업은행 측은 향후 재무 상태 분석 기준을 강화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관련기사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