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SNS에 범람하는 마약'…10대들을 노린다

입력 2016-03-11 10:35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SNS에 범람하는 마약'…10대들을 노린다


국내 마약류의 유통경로는 최근 인터넷과 스마트폰을 통해 다양화해지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특히 SNS가 일상화되면서 이 곳에서 손쉽게 구입한 마약, 약물 등을 남용하는 10대가 폭증하고 있다.

대검찰청이 발표한 마약류 동향을 분석한 결과 지난 한 해 동안 대마와 허브 등 환각 물질 흡입으로 단속된 19세 이하 청소년은 890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214명이었던 2005년과 2010년(263명)에 비해 3배 이상 증가한 수치다.

지난 2014년 기준 환각 물질을 소지하거나 투약해 처벌받은 청소년도 214명으로 조사됐다. 전체 환각 물질 흡입사범의 57.3%로 절반을 훌쩍 넘는 수준이다.

10대들의 약물 남용 증가는 인터넷 기술 발달로 약물을 입수하기가 상대적으로 쉬워졌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인터넷을 통해 해외에서 대마 등 환각 물질을 주문해 어렵지 않게 손에 넣을 수 있게 됐다.

만성은 마약퇴치운동본부 중독재활센터 정신보건사회복지사는 "약물 중독으로 재활센터를 찾은 10대들을 상담한 결과 청소년들이 해외 직구 사이트를 이용해 마약에 접근하는 것으로 드러났다"고 밝혔다.

이어 "채팅 앱 등을 통해서도 접하는데, 앱에서 알게 된 사람과 만남을 통해 약을 구매하는 경우도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 약물 중독으로 재활센터를 찾은 A(16)군은 지난 2014년 해외사이트에서 허브를 구입한 것을 계기로 약물에 손을 대기 시작했다. 이후 환각 효과를 즐기기 위해 비슷한 효과가 날 것이라 생각해 본드에까지 손을 뻗쳤다. A군은 지난해 인터넷으로 각성제를 구입하려다 경찰에 적발된 바 있다.

문제는 청소년들의 약물 중독이 음지에서 퍼지고 있다는 점이다. 약물복용 검사나 교육이 부족하다보니 A군처럼 해외 구매 중 적발되지 않는 이상 적발하기 힘든 실정이다.

한 교육부 관계자는 "1990년대에는 소변검사 등을 통해 환각 물질 흡입 여부를 검사했지만, 최근엔 인권침해 소지가 있어 실시하지 않고 있다"며 "학생 개개인을 조사하거나 상담 등을 통해 학생들이 먼저 얘기하지 않는 이상 약물 복용 여부를 알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현재 교육 당국은 전국 초·중·고등학교에서 의무적으로 흡연, 음주, 약물 등의 예방교육을 포함한 보건교육을 연 17시간 실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항목별 시수 배정은 학교장의 자율에 맡기기 때문에 약물 관련 예방교육이 얼마나 이뤄지고 있는지도 파악할 수 없다.

여성가족부에서도 일반학교와 위기청소년 지원 센터에서 약물예방교육을 실시하지만, 일반학교의 경우 예산 부족으로 공모를 받아 선정된 40개 학교에 대해서만 실시하고 있다.

치료도 어려운 실정이다. 약물에 중독됐다 하더라도 병원을 찾는 이들은 일부에 불과하다.

조성남 을지중독연구소장은 "중독을 겪는 사람 중 실제 병원에 찾아오는 건 1%도 안 된다. 특히 청소년들은 재미삼아 조금 해본다고 생각해 중독을 인정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청소년들의 약물 중독 문제에 대해 약물검사를 통해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조 소장은 "운전 단속 시 음주 측정을 먼저 하듯, 학교생활에 어려움을 겪거나 이상 증세를 보이면 약물검사를 해 조기에 발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약물예방교육이 더욱 강화돼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 최정원 국립서울병원 소아정신과전문의는 "중독 초기 단계(1년 미만)에선 교육만으로도 자기 조절능력을 키울 수 있다"며 "대중매체 등을 통해 약물중독 위험성을 홍보하고 병에 대한 인식을 강화해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뉴시스)

관련기사

마약청정국 지위 '흔들'…UN기준 넘기 '일보직전' '마약·도박' 얼룩진 외국인 식당…불법 체류자들 검거 "SNS 마약거래 꼼짝마"…검찰, 인터넷 모니터링 전담수사관 배치 지난해 '마약 밀수' 11년 만에 최대…경로·수법 다양 조건만남 여성에게 필로폰 들이대고 감금한 30대 구속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