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지난주 한강 유람선 침몰 사고 당시, 소방 드론은 아예 출동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럴 때 쓰려고 지난해 도입한 건데 정작 필요할 때 제 역할을 못한 건데요. 실은 지금까지 단 한번도 실전에 투입하지 못했다고 합니다.
그 속사정을 임지수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
[기자]
한 남성이 한강에 빠졌습니다.
사람보다 먼저 출동한 드론이, 정확한 사고 위치와 영상을 상황실로 보내고 즉각 구조대가 출동합니다.
지난해 8월 드론을 도입하며 서울소방재난본부가 선보인 홍보 영상입니다.
올해도 이 드론 사업에 11억6900만 원의 예산이 편성됐습니다.
지난달 26일 한강 유람선 침몰 현장.
드론이 가장 먼저 현장에 도착했어야 하지만 아예 출동조차 못했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8월 드론이 도입된 이후 단 한번도 실전에 투입되지 못했습니다.
북한의 무인기 사건 등으로 비행 규정이 엄격해지면서 거의 서울 전역이 드론 비행 금지·제한 구역이 됐고, 제작사가 해당 드론의 프로그램에도 이를 반영했기 때문입니다.
[서울소방재난본부 관계자 : (드론 제작사가) 국가의 항공법을 인지하도록 프로그래밍을 해놓는 거죠.]
뒤늦게 이 사실을 안 재난본부가 지난 10월 제작사에 프로그램을 바꿔달라고 부탁했지만 최근까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취재가 시작되자 소방본부는 제작사 협조로 지난 주말부터 작동이 가능해졌다고 해명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재난용 드론을 적시적지에 투입하기 위해선 우리 제도와의 적합성부터 면밀히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