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10명 중 8명'
대학생 10명 가운데 8명은 취업 시장에서 능력보다 학벌이 중시된다는 생각을 하는 것으로 조사돼 화제다.
9일 '2.1 지속가능연구소'와 대학생언론협동조합 'YeSS'가 현대리서치 등에 의뢰해 전국 132개 대학생 2361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결과, 취업시장에서 능력보다 학벌이 중시된다고 응답한 비율은 80.5%(1901명)으로 드러났다.
특히 조사에 응답한 의대·약대·간호대 학생 59명 중 능력보다 학벌이 중시된다고 답한 비율은 91.7%(54명)에 달했다.
대학생들이 취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성취감(37.1%), 직업적 안정성(26%), 금전적 보수(20%) 순이었다. 구성원 간의 관계(9.6%)는 상대적으로 비율이 낮았다. 교육대 학생들은 안정성, 사회계열과 예체능계열 학생들은 성취감, 의학대 학생들은 안정성과 보수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아 이목을 집중시킨다.
아울러 대학생의 집안사정에 따라 취업 전망도 크게 엇갈리는 등 취업시장에서의 빈익빈 부익부 현상도 나타나 눈길을 끈다.
집안 사정이 상위에 해당한다고 답한 대학생들은 291명, 하위에 해당한다고 답한 대학생들은 365명이었다.
상위계층에 해당한다는 대학생들의 67.3%(196명)는 '원하는 곳에 취업할 수 있다'고 답했으나, 하위계층 대학생들은 이 비율이 45.4%(166명)에 그쳤다.
김병규 2.1 지속가능연구소 부소장은 "이는 사교육-대학진학-취업으로 이어지는 부와 가난의 대물림이 구조화하고, 빈익빈 부익부가 고착화하는 사회적 우려와 무관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졸업한 뒤 원하는 곳에 취업할 수 있을 것'이라는 응답률은 국공립대학생(64.9%)이 사립대학생(56.0%)보다 높았다.
계열별로는 취업 경로가 뚜렷한 의대·약대·간호대(75%) 계열이 가장 높았고, 교육계열(73.7%)과 인문학계열(52%)이 그 뒤를 이었다.
취업에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는 성취감(37.1%), 직업적 안정성(26%), 금전적 보수(20%) 순으로 집계됐다. 구성원 간의 관계(9.6%)는 상대적으로 비율이 낮았다.
전공분야별로는 교육계열에서 안정성, 사회계열과 예체능계열에서 성취감, 의학계열에서 안정성과 보수에 대한 선호가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경제·경영계열의 대학생 4명 가운데 1명(25%)은 '졸업 후 5년 안에 창업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전체평균(18.6%)과 비교해 높은 반응이었다.
한편 '전업주부가 되는 것은 보수를 받고 일하는 것만큼 가치가 있다'고 응답한 학생들은 60.1%(1419명)로, 특히 이 비율은 남학생(64.1%)이 여학생(56.7%)보다 더 높았다.
또 대학생 10명 중 6명(59.3%)은 근무여건이나 직장문화 등을 고려할 때 외국에서 취업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혔다. 이 비율은 여학생(63.3%)이 남학생(54.6%)보다 10%포인트 가량 더 높았다.
대학생 10명 중 8명의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대학생 10명 중 8명, 맞는 말이다..." "대학생 10명 중 8명, 안타깝지만 현실" "대학생 10명 중 8명, 취업 어떻게 하죠?" "대학생 10명 중 8명, 너무 힘들어요" 등의 반응을 보였다.
(JTBC 방송뉴스팀)
사진=중앙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