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팩트체크] 몸집 커지는 박근혜 정부…'작은 정부' 공약은?

입력 2014-11-19 22:30 수정 2014-11-19 22:36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정부조직이 또 한 번 바뀌고, 새로운 부처, 또 새로운 자리가 생겼습니다. '보수 정권은 작은 정부를 지향한다'는 통념에 역행하는 모습인데요, 오늘(19일) 팩트체크에서 이 문제에 대해 짚어보도록 하겠습니다.

김필규 기자가 나와 있습니다. 점점 정부가 커지는 것 같습니다.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습니다만, 그런데 이 정부가 처음부터 큰 정부를 지향했던 것은 아니잖아요?

[기자]

그렇습니다. 대선 당시 문재인 후보의 큰 정부론에 맞서서 박근혜 후보 측은 MB 정부에 대한 수정은 최소화하겠다 라는 정도의 입장을 세웠고요.

또 당선 후에 인수위에 들어가서도 이 같은 입장은 계속 유지가 됐습니다.

시계를 2년 전으로 돌려서 그때 인수위에서 나왔던 이야기 들어보겠습니다.

[유민봉 당시 인수위 총괄간사 (지난해 1월) : 꼭 필요한 것만 개편한다, 국민 안전과 경제부흥을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조직을 활용한다, 전문성과 통합성을 강조한다, 이 세 개가 되겠습니다. 그중에 첫 번째, 정부 조직을 꼭 필요한 것만 개편한다는 최소화의 원칙을 저희들이 지켰다고…]

정부조직뿐 아니라 청와대 조직에 관한 이야기도 있었는데요, 이어서 들어보시죠.

[김용준 당시 인수위원장 (지난해 1월) : 이런 원칙을 반영해 현재의 청와대 비서실 조직보다 작은 '2실 9수석' 체계로 설계하였습니다.]

[앵커]

정부는 가급적 키우지 않고 청와대는 더 작게 가져간다는 이야기였습니다. 그런데 지금 보면 반대로 간 것 같군요.

[기자]

그렇습니다. 청와대부터 짚어보면요, 최초에는 MB 청와대보다 조직을 확 줄인 2실 체제로 간다고 밝혔는데요.

얼마 안 가 경호를 강화한다고 해서 경호처를 경호실로 승격시켜 3실 9수석 체제를 만들었고요.

또 잇따른 인사 낙마사태로 인사수석 자리를 새로 만들어서 지금의 3실 10수석 체제가 됐습니다.

여기에 지난해 12월 국가안전보장회(NSC) 사무처도 신설됐죠.

[앵커]

청와대에는 분명히 자리가 늘었고, 그러면 정부는 어떻습니까?

[기자]

출범 당시 17부 3처 17청으로 시작했는데요.

이번 조직개편으로 국민안전처와 인사혁신처가 신설되고, 또 안전행정부가 행정자치부로 바뀌고, 소방방재청과 해경은 폐지돼서 17부 5처 16청이 됐습니다.

이런 과정을 거치고 났더니 장관급이 1명, 차관급 1명, 실장급 이상 고위공무원 13자리가 늘어났습니다.

[앵커]

대부분 국민안전처 그리고 인사혁신처 이것 때문에 그렇게 된 거라고 봐야 되나요?

[기자]

그렇습니다. 특히 이번 개편이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진행되지 않았습니까?

제 역할 못했다고 해서 안행부, 소방방재청, 해경, 이런 곳이 국민안전처로 합쳐진 건데, 이렇게 고위직 자리가 늘었으니, 오히려 '승진잔치가 열릴 수도 있겠다' 이런 이야기도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정부가 커졌으면 전체 공무원 수도 늘었겠네요?

[기자]

이번 조직개편으로 총 740명이 늘었는데요, 그래서 중앙부처 공무원의 수는 62만2172명이 됐습니다.

이번 정부 들어 6500명 정도 늘어난 건데요, 지금 보시는 것처럼 노무현 정부 때보다 1만 7000명 정도 더 많고요, 이명박 정부 말에 비해서도 7000명 가까이 늘었습니다.

[앵커]

이야기한 대로 이번 개편은 세월호 참사가 계기였고, 미국 같은 경우도 9·11 테러 이후 국토안보부가 생겼잖아요. 그렇게 보자면 계기가 있었던 거니까 그걸 꼭 탓할 수 있겠느냐 하는 생각도 가질 수 있는데…

[기자]

물론입니다. 그런데 미국과 큰 차이는 미국에 비해서 우리는 참 자주 바뀌었다는 점입니다.

미국의 경우에는 1789년 연방정부 설립 이래 1792년 우편 서비스가 시작되면서 체신부가 설립됐고요.

또 오일쇼크 이후 1977년 에너지부가 생기는 등 부처가 새로 생기고 분리되고 하는 경우가 있었는데, 225년 동안 굵직한 개편 횟수가 14번에 불과했습니다.

그런데 우리의 경우 YS 정부 이후로만 봐도 정권이 들어설 때마다, 또 중간에도 몇 번씩 개편이 이뤄져서 정부 형태가 바뀐 게 21년간 10번이나 됩니다.

일례로 이번에도 2년 만에 조직이 또 쪼개지는 운명을 맞은 안전행정부를 보면요, 1948년 내무부로 시작했던 게 행정자치부가 됐다가, 행정안전부가, 안전행정부가 됐다가 이번에 다시 또 행정자치부로, 이렇게 돌고 돌았습니다.

[앵커]

돌고 돈 거고, 이름이 수없이 바뀌고 있잖아요. 사실은 저희들도 부처 이름이 뭔지 헷갈릴 때도 많고…

[기자]

기사 쓸 때 참 힘든 경우도 있습니다.

[앵커]

불과 몇 년 전하고 또 달라져 버리니까. 그러다 보니까 요즘은 장관이 누군지도 모르겠고 이런 경우도 많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유독 정부 조직 개편이 우리나라에서 왜 이렇게 많이 바뀌느냐, 뭐라고 봐야 됩니까?

[기자]

국회 입법조사처에서 바로 그 부분에 대해서 분석을 해서 자료를 낸 게 있는데요.

한 번 보시면 "우리나라의 경우 부처신설이나 통폐합이 정부혁신이라는 착시현상을 가져왔다" 그러니까 정권이 바뀔 때마다는 물론이고요.

또 어떤 분위기 쇄신이나 민심 수습 카드로 정부조직 개편을 꺼내왔다, 그런 지적입니다.

[앵커]

앞서도 잠깐 말씀드렸지만 보수정부라면 정부가 작아지는데 이건 좀 이례적이라고 봐야 되겠네요?

[기자]

이례적이라고밖에 볼 수 없는 장면이 하나 있는데요, 한 번 들어보겠습니다.

[박근혜 당시 한나라당 대표 (지난 2006년) : 현 정권은 세금을 더 거둬서 큰 정부를 만들겠다고 해 왔습니다. 이제 발상의 전환을 해야 합니다. 정부 스스로 허리띠를 졸라매어 작은 정부를 만들어 가고 불필요한 규제와 간섭은 과감하게 없애야 합니다.]

[앵커]

박 대통령이 야당 대표 시절 노무현 정부를 향해서 했던 이야기군요.

[기자]

네, 맞습니다. 정부조직이라는 것, 물론 환경에 맞춰서 유연하게 될 필요도 분명히 있겠죠.

하지만 지금 이렇게 늘어나는 고위직, 또 돌고 도는 조직개편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 분명히 있지 않습니까.

앞서 나온 이야기대로 정부가 커지면서 세금이 더 들어가거나 규제가 더 많아지는 일은 분명히 없어야 할 것 같습니다.

[앵커]

팩트첵커 김필규 기자였습니다. 수고했습니다.

관련기사

[청와대] 세월호 후속조치 개편으로 더 비대해진 정부 정부조직 개편 단행…신설 국민안전처 장관에 박인용 국민안전처, 정원 1만 명의 '공룡 조직'…늘어난 감투 정부조직 개편 고위직 인사 '군·동기·삼성'…쟁점은? 여야, 청와대 인사 상반된 평가 '청문회 격돌 예고'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