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사람 없는 4대강 자전거길…보수공사에 혈세만 줄줄

입력 2014-10-14 21:53 수정 2014-10-14 23:0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자전거 도로도 마찬가지입니다. 저희 취재팀이 확인해 보니 4대강 공사 때 만들어진 자전거길 곳곳이 깎여 나가고 있고, 심지어 물에 잠겨 해마다 공사를 해야 하는 곳도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도 돈은 지금도 계속 들어가고 있는 것이지요.

이어서 신혜원 기자입니다.

[기자]

4대강 공사 당시 금강 백제보 옆에 만들어진 자전거길입니다.

주말인데 자전거를 타는 사람이 보이지 않습니다.

사람들이 얼마나 찾아오는지 카메라를 설치하고 관찰해봤습니다.

1시간 동안 길을 지나간 건 자전거를 탄 사람 한 명뿐이었습니다.

그리고 인근 주민의 화물차 한 대만이 지나갔습니다.

가장 가까운 곳이 충남 부여군인데, 이곳까지 자전거를 타기 위해 내려오는 사람들이 거의 없는 겁니다. 접근성도 떨어집니다.

국토부에 따르면 금강 자전거 도로 이용객은 하루 평균 21명에 불과합니다.

[김영미/공주시의원 : 지금 이용객이 계속 줄고 있는 상황이고, 이용객도 없는데 유지 관리비가 많이 들어가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보입니다.]

대구시 달성군의 자전거도로입니다.

지난해 7월, 폭우가 쏟아지면서 자전거 길 아래쪽이 강물에 휩쓸려 무너졌습니다.

돌로 간신히 지지해놓은 도로는 자전거를 탈 수 있을지 위태롭습니다.

보수 공사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백재호/대구환경연합 위원 : 물이 찰 때마다 제방이 무너지면 보수공사를 하고요. 보도블록을 매년 새로 까는 것처럼, 사회의 마이너스 비용이잖아요.]

6백 여km에 걸쳐 만들어진 낙동강 자전거 도로는 예비타당성조사에서 홍수 피해가 우려된다는 지적도, 투입되는 예산 대비 효과를 볼 때 경제성이 없다고도 나왔지만, 결국 강행됐습니다.

2500억 원을 투입해 만든 4대강 자전거길은 완공 이후 지금까지 465건의 안전문제가 적발돼 해마다 65억 원의 국비가 관리비로 투입되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