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긴급출동] 학생 안중에도 없는 들쑥날쑥 '대입 제도'

입력 2013-12-18 08:37 수정 2013-12-20 20:27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앵커]

공부를 할 때 물론 대학 입시제도에 맞춰서 공부를 해서는 안 되겠지만요, 너무 자주 바뀌는 우리나라 대입 제도 때문에 수험생과 학부모들이 혼란스러워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최근 20년 동안 17번 바꼈다고 합니다. 지난 9월에 교육부가 또 새로운 제도를 발표하면서 어학특기자 전형 부분이 축소되거나 폐지됐는데요, 이에 맞춰서 진학 전략을 짜온 학생들은 당황스럽기만 합니다.

오늘 긴급출동에서는 갈팡질팡하는 대입 제도의 문제점, 취재했습니다.


[기자]

내년 8월에 있을 대입 수시 전형을 준비해 온 고등학교 2학년 민유정 양.

통역사가 꿈인 민 양은 지난 3년간 일본어를 공부하면서 대학 입학 역시 일본어 어학특기자 전형으로 준비해 왔습니다.

[민유정/어학특기자 전형 준비 수험생 : 중3 때부터 이렇게 어학특기자 전형이 있구나. 이걸로 대학을 가야겠다고 마음을 먹었어요. 점수 같은 것도 공인시험 같은 거 많이 쌓아놓고….]

상위권 대학 어학특기자 전형기준을 만족할 만큼의 실력을 쌓아온 민 양.

그런데 최근 황당한 소식을 들었습니다.

대다수 대학들이 내년도 입학전형에서 어학특기자 전형을 대폭 축소하거나 폐지한다는 것이었습니다.

[민유정/어학특기자 전형 준비 수험생 : 7개월 8개월도 안 남은 상태에서 갑자기 없앤다고 말을 하시니까 정말 저희 공부한 거는 다 완전히 무너지고….]

부모 역시 안타까운 심정입니다.

[민병조/학부모 : 이렇게 갈팡질팡하는 교육제도에 희생을 당해야 되는 친구들이 더 나온다는 현실이 안타깝습니다.]

취재진은 가장 먼저 어학특기자 수시전형을 폐지한 서울의 한 대학을 찾아가 보았습니다.

[A 대학 관계자 : 교육부에서 내려온 방침에 따라서 그 시스템에 따라서 저희가 진행을 하는 거….]

올 9월, 교육부가 발표한 2015년 대입제도에 따라 특기자 전형을 축소할 수밖에 없었다는 겁니다.

하지만 이에 대해 교육부는 강제성이 없다고 주장합니다.

[교육부 관계자 : 대입전형 설정 권한이 대학의 장한테 있어요. 이번 특기자전형 폐지했었던 거는 대학들의 결정이고 (대학들의) 선택이었던 거에요. 강제성은 정말 없어요.]

그러나 대학관계자는 교육부의 지침을 따르지 않을 경우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없기 때문에 눈치를 볼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B 대학 관계자 : 저희가 (재정이) 진짜 간당간당해요. 저희가 거기에서 찍혀서 만약에 재정지원 사업을 못 받게 되면 그건 저희한테 큰 피해기 때문에 교육부의 눈치를 안 볼 수 없고….]

서로 책임을 떠넘기고 있는 교육부와 대학.

학부모들은 답답한 마음에 교육부를 찾아 항의하기도 합니다.

[교육부 관계자 : (그러면 페널티를 가진 대학은 어떤, 불이익을 받아요?) (재정지원 평가) 총점에 대해서 감점이 되는 거죠. (그럼 교육부가 돈을 갖고 휘두르는 건 맞는 거네요?) 그렇죠. 그러니까 당연히. 그런 건데. (뭐가 '그렇죠' 에요? 그때는 아니라고 하셨잖아요.)]

이런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2만여 명에 달하는 해당 학생과 학부모들은 앞길이 막막합니다.

[현명희/학부모 : 교육부 직원분께서 왜 서울에 있는 대학만 생각하세요? 지방에 있는 대학 보내세요. 이렇게 얘기를 하시더라고요. 아주 무책임한 말이죠.]

[김윤혜/학부모 : 우리나라에서는 꿈을 꿀 수가 없잖아요. 그러니까 어쩔 수 없이 외국으로 내몰리는 거죠.]

그렇다면 이런 과정에서 피해를 입게 될 학생들에 대한 고민은 있었던 것일까.

[교육부 관계자 : (피해자가 안 생기게 하는 쪽으로는 공청회에서 논의 자체가 안 됐다는 말씀이시죠?) 네, 여기는 문제 제기가 별로 없이… (피해자가) 없다고 오히려 인정되는 거 같더라고요.]

전문가는 이렇게 일방적인 대입 제도를 비판합니다.

[이성권/서울진학지도협의회 회장 : 지금까지 정권이 바뀌면 늘 교육정책에 관한 여러 가지 변화들이 필수적으로 동반되어왔던 게 사실입니다. 정책담당자들에 의해서 결국 일방적으로 결정돼서 제시되다 보니까 이런 문제들이 생기는 거죠.]

갑작스럽게 뒤바뀌는 대입 제도. 수험생들이 혼란에 빠지는 상황은 지금껏 수차례 반복돼 왔습니다.

최근 20년간 대입 제도가 17번이나 변해왔기 때문입니다.

박 대통령은 지난 대선에서 대입 제도를 최소한 3년 전에 예고하겠다는 '3년 예고제'를 공약으로 내걸었지만 아직 관련법조차 준비되지 않았습니다.

[이성권/서울진학지도협의회 회장 : 이런 피해는 학생들이 고스란히 짊어져야 하는 시점에 놓여있다. 이렇게 볼 수 있겠습니다.]

결국, 성급히 바뀐 대입 제도의 모든 문제점을 수험생들이 고스란히 떠안아야 하는 겁니다.

[박유민/어학특기자 전형 준비 수험생 : 입장을 바꿔서 생각하면 수능 준비하는 학생으로 치자면 8개월 동안 수능을 폐지해버리고 우리처럼 어학특기자처럼 외국어로 (대학) 가라는 거랑 똑같다고 생각하거든요.]

[박소영/어학특기자 전형 준비 수험생 : 저는? 이제까지 준비한 것들 다 헛고생이잖아요. 진짜… 답이 없잖아요.]

수험생과 교육현실을 고려하지 않고 교육부와 대학의 잣대에 따라 수시로 바뀌는 대입 제도.

준비할 시간조차 없이 대입을 치러야 하는 학생들의 한숨이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기사

수험생, 수능 오류 소송 패소…법원 "교과서 따라야" "복잡한 입시, 전문가 도움 필수"…도교육청, 상담 확대 '1억 과외로 자녀가 명문대 간다면'…국민 15%는 "기꺼이…" '정시 남았지만…' 수능 성적표에 희비 엇갈린 교실 엄마가 댓글 입력해도 인정…엉터리 봉사활동 논란
광고

JTBC 핫클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