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비스 메뉴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아티클 바로가기 프로그램 목록 바로가기

단백질·바이러스 움직임 관찰 영상장치 개발

입력 2012-04-10 12:33
크게 작게 프린트 메일
URL 줄이기 페이스북 X

단백질·바이러스 움직임 관찰 영상장치 개발


국내연구진이 인체 내 단백질·바이러스 등 바이오 물질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영상장치를 개발했다.

머리카락의 10만분의 1미터 정도 되는 미세한 크기도 분별할 수 있게 된 것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0일 연세대 전기전자공학부 김동현 교수와 김규정 박사가 일반 현미경에 자체 제작한 금속 구조칩을 접합해 기존 전반사 형광 현미경의 문제점인 광학적 회절한계(diffraction limit)를 극복했다고 10일 밝혔다.

의·과학이 발달하면서 세포 내 단백질의 움직임이나 바이러스간 상호작용처럼 더 작고 미세한 현상을 관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으나 지금까지는 현미경의 회절한계로 인한 해상도 문제가 있었다.

회절한계란 관찰하려는 두 물체간 간격이 현미경에서 사용하는 광원의 반파장 크기 이하에 해당될 때 이들을 서로 구분할 수 없는 현상을 말한다.

최근 수 나노미터(㎚, 10억분의 1m)급 크기까지 볼 수 있게 됐지만 상당히 고가의 특수장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었다.

반면 이번에 개발한 방식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전반사 형광 현미경을 이용하기 때문에 쉽고 간편한 게 특징이다.

연구팀은 나노미터 크기의 동그란 구멍이 주기적으로 있는 금속 구조칩을 제작한 뒤 현미경에 접목시켰다.

그 결과 나노구멍 표면에 국소 크기의 매우 강한 전자기파가 만들어졌고, 이 핫스팟(Hot spot)이 횃불 역할을 해 이를 지나는 생체분자의 영상정보를 복원할 수 있게 됐다.

김 교수는 "나노 구조칩의 전자 배열이 바뀌면서 약 35 나노미터 크기의 핫스팟이 생겼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이 영상법으로 움직이는 바이오 물질의 영상을 수십 나노미터까지 분별할 수 있다"며 "특정 세포 내에서 움직이는 기질 또는 단분자 영상화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성과는 나노와 마이크로 과학분야의 권위있는 학술지 '스몰(Small)'에 표지논문으로 최근 소개됐다.

(연합뉴스)

관련기사

'왕따' 원숭이, 면역력 약해져 백신, 남성 오전 여성 오후에 맞아야
광고

JTBC 핫클릭